젠슨 황 "트럼프 10만불 비자 수수료면 우리 가족 미국 못 왔을 것"

엔비디아의 비자 수수료 계속 지원도 확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H-1B 비자 수수료 인상에 대해 말하면서 이런 정책이 예전에도 있었다면 자기 가족이 미국 이민을 올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엔비디아는 비자 수수료 10만 달러를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8일(현지시간) 황 CEO는 CNBC ‘스쿼크박스’ 인터뷰에서 “우리 가족이 10만 달러를 감당할 수 있었을 것 같지 않다”며 “그래서 우리 가족과 내가 이곳에 올 수 있었던 기회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민은 아메리칸드림의 기반”이라며 “누구든 미국에 와서 노력과 재능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이상”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월, 기업이 외국 전문 인력을 고용하는 데 이용하는 H-1B 비자 신청서당 10만 달러의 수수료를 납부하도록 하는 포고문에 서명했다.

황 CEO는 “우리 부모가 미국에 온 이유는 우리 가족이 이 나라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면서, 현재 엔비디아가 1400건의 H-1B 비자를 후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민 직원들의 수수료를 회사가 부담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책에 일부 개선이 있기를 바란다”며 “우연한 행운이 여전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만에서 태어나 태국으로 이주한 황 CEO는 9살 때 형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갔다. 그의 부모는 약 2년 후 미국으로 이주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수수료 인상은 특히 인도와 중국 등 해외 인재에 크게 의존하는 기술 업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미국 시민권 및 이민국(USCIS)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5 회계연도에 1만 명 이상을 고용, H-1B 비자 소지자를 가장 많이 고용한 기업이었다. 기술 대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애플, 구글 또한 각각 4000건 이상의 H-1B 비자 승인을 받으며 H-1B 비자 소지자 상위권에 들었다.

한편 수수료 인상에 찬성하는 미국 기업 CEO들도 있다. 이들은 황 CEO와는 달리 미국 태생의 미국인들이다. 넷플릭스 공동 창업자 리드 헤이스팅스는 “이 수수료는 훌륭한 해결책”이라며 “H-1B가 매우 가치 있는 일자리에만 사용되게 되고, 추첨이 필요 없어지며 더 큰 확실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X(구 트위터)에 밝혔다.

오픈AI CEO 샘 올트먼도 “우리는 가장 똑똑한 사람들을 미국에 데려와야 한다”며 “그 과정을 간소화하고 재정적 인센티브를 명확히 하는 것은 좋은 방향”이라고 지난 9월 CNBC 인터뷰에서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