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입학 여학생 38% 5년 새 최대…수의·약대는 절반 넘어

의약학계열서 여학생 증가세…최대 81.3%

계약학과선 부진…"여학생 물리 비선호 영향"


최근 5년 사이 의대에 입학한 여학생 비율이 올해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 비율 증가는 의약학 계열 전반에서 공통으로 확인됐다. 수의대와 약대는 여자 신입생이 과반을 차지했다.


9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의대·약대·치대·한의대·수의대 입학자를 분석한 결과, 2025학년도 의대 입학생 중 여학생 비율은 38.4%로 2021학년도 이래 최고치였다.


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율은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1학년도 34.1%였던 여학생 비율은 △2022학년도 35.2% △2023학년도 36.2% △2024학년도 37.7%로 상승했다.


특히 지방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강원권은 2021학년도 29.1%에서 올해 40.9%로 올랐고, 대구·경북은 38.6%로 11.8%포인트(p) 상승했다. 이밖에 △부·울·경 39.7%(10.4%p↑) △제주 44.3%(2.8%p↑) △충청권 38.9%(3.1%p↑) △호남권 40.9%(0.8%p↑) 등이었다.


단국대(천안)는 여자 신입생이 51.3%로 과반을 차지했다. 울산대 의대는 신입생 성별이 정확히 50%로 갈렸다. 수도권에서는 한양대 의대의 여자 신입생 비율이 35.5%로 가장 높았다.


증가세는 약대와 수의대, 치대에서도 확인됐다. 치대를 제외한 대학에선 여자 신입생 비율이 과반으로 조사됐다.


2022학년도부터 학부로 전환된 약대는 △2022학년도 54.9% △2023학년도 55.5% △2024학년도 57.8% △2025학년도 58.1%로 꾸준히 늘었다.


특히 인제대는 올해 여자 신입생이 81.3%로 압도적이었다. 원광대 73.8%를 비롯해 △우석대 65.0% △제주대 63.3% △전남·전북대 60.0%도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수의대는 올해 처음 여학생 비율이 남학생을 넘었다. 2021학년도 42.5%던 여학생은 △2022학년도 37.7% △2023학년도 40.7% △2024학년도 41.4% △2025학년도 50.4%로 올랐다.


치대는 △2021학년도 33.0% △2022학년도 35.5% △2023학년도 35.9% △2024학년도 39.5% △2025학년도 38.1%였다.


한의대는 5년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2021학년도 43.5%던 여학생은 △2022학년도 39.0% △2023학년도 43.3% △2024학년도 44.0% △2025학년도 43.6%였다.


반면 대기업 계약학과의 경우, 여학생 입학이 다소 부진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첨단학과 및 반도체학과의 여학생 비율은 △2023학년도 13.3% △2024학년도 17.7% △2025학년도 15.8%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이 같은 차이가 과학탐구 과목 선호도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025학년도 수능에서 물리학Ⅱ를 응시한 여학생은 18.0%, 물리학Ⅰ은 21.6%에 불과했다. 생명과학Ⅰ(50.8%)이나 생명과학Ⅱ(48.3%)와는 대비된다.


임 대표는 "반도체 관련 학과에서는 물리 과목 등을 내신 권장 과목 등으로 요구한다"며 "여학생들의 물리과목 기피 현상이 (입학 비율 차이와)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계약학과에서는) 핵심 권장과목으로 물리 등을 강도 높게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상대적으로 남학생의 첨단학과, 반도체 관련 학과 (진학)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