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회사 5명이 노벨상 받았어요!"…구글 CEO 자축 메시지

구글과 모회사인 알파벳의 최고경영자(CEO)인 순다르 피차이가 202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에게 축하 인사를 전하며, 수상자 중 한 명이 현재 구글에서 근무 중이고 또 다른 한 명은 과거 구글에서 일했던 인물이라고 자랑했다.

9일 인도 최대 경제 전문 온라인 매체인 머니컨트롤닷컴에 따르면 피차이는 이날 X(구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미셸 데보럿, 존 마티니스, 존 클라크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을 축하한다”며 “미셸은 구글 퀀텀 AI 랩의 하드웨어 최고 과학자이고, 마티니스는 오랜 기간 하드웨어 팀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들 수상자가 1980년대부터 이어온 양자역학 연구를 통해 현대 양자컴퓨팅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최근의 기술적 돌파구와 향후 오류 수정이 가능한 양자컴퓨터 개발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피차이는 하루 전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버라에 있는 구글 양자 연구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회사의 업적에 자부심을 표하기도 했다. 그는 "오늘 아침 우리 회사에 노벨상 수상자가 다섯 명이나 있는 회사에서 일하게 되어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2년 동안 세 개의 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국가도 아닌 기업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5명이나 나온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지난해에는 구글의 딥마인드를 이끈 AI 과학자들이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지난해 수상자 세 명 중 데미스 허사비스는 영국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 존 점퍼는 구글 딥마인드 수석연구원이었다.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은 10년 넘게 구글 브레인팀에서 일한 연구원이었다. 그는 딥러닝과 인공신경망 연구로 수상했다.

전문가들은 구글이 단순한 제품 개발을 넘어서 기초과학을 기반으로 한 장기 연구를 지원한 것이 수상의 바탕이라고 보고 있다. 다양한 기초과학 분야의 석학과 연구자를 적극 채용한 덕에 2년 동안 다섯 명이 세 개의 노벨상을 받는 결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한편,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은 양자 터널링 현상을 거시적 규모에서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이들은 수십억 개의 쿠퍼 페어(초전도체 내 전자쌍)를 활용해, 눈으로 볼 수 있는 크기의 칩에서 양자역학적 효과를 구현해 냈다. 이 연구는 양자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을 뿐 아니라, 향후 양자컴퓨터 기술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