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폭등에 유럽 박물관 황금유물 털렸다

네덜란드선 폭약, 파리선 사이버공격…대담해지는 범죄 수법

 

금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유럽의 박물관들이 황금 유물을 노리는 절도범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지난 6일 새벽 영국 웨일스의 세인트 페이건스 국립 역사박물관에 2인조 도둑이 침입해 청동기 시대 황금 장신구를 훔쳐 달아났다.

범죄 수법은 갈수록 대담해지고 전문화되고 있다. 지난달 16일 프랑스 파리 국립자연사박물관에 도둑이 들어 60만 유로(약 10억 원) 상당의 희귀 금 원석 표본들을 훔쳐 갔다.

범인들은 절단기와 가스 토치 등 전문 장비를 사용해 방탄유리를 뚫었다. 박물관 측은 이들이 "어디로 가야 할지 완벽하게 아는 전문가팀이었다"고 혀를 내둘렀다.

특히 이 박물관은 범행 두 달 전인 7월 사이버공격으로 경보 및 감시 시스템이 무력화된 적이 있어 보안 공백이 범행의 빌미가 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난 1월 네덜란드 드렌츠 박물관에서는 절도범들이 폭발물로 문을 부수고 침입해 루마니아 국보급 유물인 '코토페네슈티의 황금 투구' 등 600만 유로(약 88억 원) 상당의 유물 4점을 훔쳐 갔다. 범행에 소요된 시간은 불과 3분이었다.

이 사건으로 유물을 대여해 준 루마니아 국립 역사 박물관장이 해임되고 양국 간 외교 문제로까지 비화했다. 당시 박물관에는 야간 경비 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범죄의 동기가 유물의 역사적 가치가 아닌 치솟는 금값에 있다고 지적한다. 도난당한 유물들은 너무나 유명해서 암시장에서 거래하기 어렵기에 범인들이 유물을 녹여 금괴로 만들어 팔아넘길 가능성이 제기된다.

파리 국립자연사박물관 측은 "희소성이 있어 유통하기 어려운 문화재보다 바로 녹여버릴 수 있는 금이 (범인들에게) 훨씬 나은 선택일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특히 루마니아의 자존심으로 불리는 '코토페네슈티의 황금 투구'가 녹아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에 루마니아 국민들은 큰 상실감과 분노를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물관 절도는 유럽에서 상당히 흔한 일이다. 이는 수백 년 된 낡은 건물과 느슨한 보안 시스템 탓이 크다. 2010년 파리 현대미술관에서 피카소 등 거장들의 작품 5점이 도난당했을 당시 경보시스템은 두 달 넘게 고장 난 상태였고 경비원 3명은 외부인 침입 사실조차 몰랐다. 최근에는 물리적 보안 문제에 더해 사이버공격이라는 새로운 위협까지 등장했다.

잇따른 도난 사건에 유럽 각국 경찰은 인터폴 등과 공조 수사를 벌이고 있으며 박물관들은 뒤늦게 보안 시스템 강화에 나섰다. 하지만 도난당한 예술품의 평균 회수율은 5~10%에 불과해 황금 유물을 되찾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편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현재 금 시세는 온스당 약 3971.45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오전 한때는 3977달러 수준으로 치솟기도 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