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너무 비싸 시애틀 중산층도 무보험 전락

미국 집 보험료, 물가보다 두 배이상 치솟아 감당 어려워

소비자단체 “보험사, 기후위기 빌미로 과도한 이익 챙겨”


미국내 주택 소유주들이 집보험료 급등으로 큰 압박을 받고 있으며 시애틀을 포함해 미국내 중산층 가운데 주택보험을 들지 않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주택 소유주의 7%가 보험없이 살았고, 이 중 43%는 “보험료가 너무 비싸 감당할 수 없다”고 답했다. 

실제로 중간 수준 신용을 가진 사람이 35만 달러 상당의 주택을 재건축하는 기준으로 책정된 평균 보험료는 연간 3,303달러에 달한다. 이는 불과 3년 만에 24% 인상된 수치로, 같은 기간 물가 상승률(11%)을 훨씬 웃돌았다.

주별로 인상률은 더 가파르다. 유타주는 59%, 일리노이 50%, 애리조나 48%, 펜실베이니아 44% 등 일부 지역은 사실상 두 배 가까이 오르며 주택 소유주들을 벼랑 끝으로 몰고 있다. 

보험업계는 보험료 급등의 원인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증가, 건축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 소송 비용 확대를 들고 있다. 보험정보연구소의 로레타 워터스 대변인은 “보험료는 실제 위험을 반영해야만 재난 발생 시 보험사가 약속한 보상을 이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비자단체는 “기후 위기를 핑계 삼아 지나친 이익을 취하고 있다”고 반박한다. 소비자연맹(CFA)의 더그 헬러 보험국장은 “보험사들이 합리적 보험료 책정 대신 부당한 인상과 차별적 언더라이팅으로 수많은 미국인을 시장에서 밀어내고 있다”며 “이는 탐욕과 규제 실패의 결과”라고 비판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실제 피해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소비자감시단체 ‘컨슈머 워치독’은 대형 보험사들이 산불 피해 가정을 상대로 보상액을 지나치게 축소해 지급하는 관행을 지적했다. 카르멘 밸버 사무총장은 “주민들이 보험료 폭등을 겪은 직후 산불 보상금은 정당하게 지급되지 않았다”며 “특히 스테이트팜은 15만 달러 피해액을 3만 달러로 책정하는 등 고의적 저평가를 일삼았다”고 주장했다.

파사데나에 거주하는 로사나 발베르데 부부는 지난 1월 이튼 산불로 집이 전소되지는 않았지만, 독성 물질에 오염된 연기로 집을 쓸 수 없게 됐다. 그러나 스테이트팜은 단순한 청소로 해결 가능하다며 7만 달러 수준만 지급했다. 실제 복원 비용이 30만 달러에 달하는 상황에서 부부는 친척 집에 얹혀 살며 소송까지 검토하고 있다. 발베르데는 “30년간 꼬박꼬박 보험료를 냈는데 돌아온 건 배신과 모욕뿐”이라며 “도저히 잠조차 이룰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보험료를 아끼려면 주기적으로 여러 보험사 견적을 비교하고, 필요하다면 보험사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무보험 위험을 피하려면 보장 내용과 한도를 꼼꼼히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실손 보상(actual cash value)’만 제공하는 저가형 보험은 재건축 비용을 충당하지 못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복원 비용(replacement cost value)’ 보장이 있는 보험을 선택하고, 집 구조·자재 정보를 정확히 제공해야만 충분한 보장을 받을 수 있다.

기후재해가 일상화된 시대, 보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지만 현실은 많은 가정이 보험료 폭탄에 시달리며 불안정한 주거 환경으로 내몰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보험사와 규제 당국이 공동으로 위험 완화와 합리적 보험료 책정에 나서지 않으면, 주택 소유 자체가 중산층에게도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