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관세협상 변곡점 나올 수 있어…통화스와프 낙관적이진 않아"
- 25-09-30
[인터뷰] "해결 향해 가는 포물선…타협점 찾을 것"
"'남북 정상화' 종착점, 특수관계 속 정상화…국방비 증액 규모 가변적"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한미 관세 후속 협상과 관련해 "낙관론을 피력하지는 않지만 여태까지 어려운 협상을 꾸려온 경험으로 유추하자면 크게 비관적이지 않다.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위 안보실장은 전날(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뉴스1을 포함한 통신 3사와의 인터뷰에서 "맨 처음 (협상을) 시작할 때 굉장히 어려웠고, 헤매는 국면인데 다시 (접점을) 찾아갈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관세협상은) 큰 추이로 보면 해결을 향해 가는 트라젝토리(Trajectory·궤적), 포물선에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중간에 변곡점이 나오지 말라는 건 없다. 요동을 한 번 칠 수 있으나, 어떤 궤적이 포물선을 그려 종착점을 가는 거라면, 나중에 보면 (이 과정도) 트라젝토리라고 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가오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은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 그걸 모두가 염두에 두고 움직여 볼 것"이라며 "미측도, 우리도 마찬가지"라고 전망했다.
위 안보실장은 미국의 3500억 달러(약 490조 2800억 원) 현금 투자 요구에 대응해 우리 정부가 제안한 통화스와프와 관련해서는 "우리가 제기한 것이긴 하지만 낙관적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미국이 지금까지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한 전례가 없고, 쉽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통화스와프는 필요조건이라고 하는데 통화스와프가 된다고 (관세협상이) 되는 게 아니다"며 "충분조건은 또 있는 것"이라고도 했다.

위 안보실장은 안보협상이 관세협상의 지렛대가 되긴 어렵다고 했다.
위 안보실장은 "(안보협상은) 하나의 완결성을 이루고 있다"면서도 "완벽한 완결성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방비 증액 문제에 대해 "서로 어느 정도 양해가 있다. (그러나) 만약 미국이 입장을 바꾸려고 하면 우리도 바꿔야 한다. 묘한 이퀼리브리엄(equilibrium·균형)이 있는 것"이라며 "그래서 무기 구매가 얼마냐, 국방비 증액이 얼마냐, (모두) 가변적이다. 상대방이 움직이면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고 서로 팽팽한 균형 상태 속에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 안보실장은 이날 남북 간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와 비핵화(Denuclearization) 3원칙을 중심으로 한 'E·N·D 이니셔티브'에 대해서는 "(E·N·D에) 우선순위가 있는 게 아니다. 다 같이 병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비핵화를 후순위로 뒀다'고 비판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학을 가려고 국어·영어·수학을 공부하겠다고 했더니 '너는 수학은 안 하려는 거구나. 그래서 대학 가겠냐'는 질문과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위 안보실장은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에 대해서는 "두 국가를 생각하는 사람은 완전한 두 나라가 되는 거라고 (관계 정상화를) 생각할 수 있다"면서도 "제가 생각하는 관계 정상화의 엔드스테이트(종착점)는 특수관계 속 정상화"라고 했다.
그는 "남북 사이에는 '두 나라가 아니다'라고 합의한 문서가 있다 그게 남북 기본합의서다. 그건 역대 정부가 이행·협의해 왔고 바뀐 적이 없다"라며 "남북관계는 통일될 때까지 잠정적인 특수관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남북을 '사실상의 두 국가'로 표현한 것에 대해 "국제법적 측면에서 얘기하는지 모르겠다"며 "우리가 특수관계라고 하는 것을 손을 떼게 되면 북한과의 어떠한 일이 벌어져도 우리가 억지하기 어렵다. 우리의 입지가 좁아진다"고 했다.
한편 위 안보실장은 이 대통령이 '북한이 체제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핵무기를 충분히 확보한 걸로 보인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북핵을 인정한다는 차원에서 한 게 아니다"라며 경각심을 갖자는 차원에서 나온 메시지라고 부연했다.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개최될 가능성이 높은 미중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중국은 APEC이란 계기를 자기들의 정책 방향이나 영향력을 투사하려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미국이 무역에서 특이한 어프로치(접근)를 하고 있지 않나. 그 틈바구니에 자유무역을 제창하는 나라로 자리매김하려 할 것이다. APEC이 경제·통상을 위한 노력이니, 그렇게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한국학교 서북미협의회 교사 사은의 밤 및 교육기금 후원의 밤 개최
- 워싱턴주 한인미술인협회, 또다른 전시회 연다
- "한인 여러분과 떠나는 인상주의 화가들과 모네의 세계”
- 시애틀 한인들을 위한 특별재정 워크샵 열린다
- 한국 거장 감독 임순례, 시애틀 팬들과 깊이있는 만남(영상)
- 시애틀한국교육원 또 큰일 해냈다-UW과 대학생인턴십 위한 MOU체결
- 한인 줄리 강씨, 킹카운티 이민난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합병 후에도 그대로 10년 더 쓴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일~10월 9일)
-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박노현교수 초청 문학특강 연다
- 시애틀 한인업체, 올해의 킹카운티 수출소기업상 받았다
- 한인 리아 암스트롱 장학금 올해도 16명에-23년간 54만9,000달러 전달
- 한인생활상담소 "미국 시민권 무료신청 해드립니다"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추석 ‘한가족 한마당’ 성황리에 개최
- 시애틀통합한국학교, 송편 만들기 등 성대한 추석행사 열어
- 상담소 "10월20일부터 바뀌는 시민권시험 이것은 아셔야"
- <속보> 故이시복 목사 돕기 모금액 1만4,000달러 넘어서
- 린우드 한식당 아리랑2.0, 추석패키지 50개 한정 판매한다
- 서북미문인협회 소속 김지현씨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대상
- 시애틀 한인 여대생, 미국 대통령 장학생 최종 선발 화제
- [시애틀 재테크이야기] 띠리리 리리리~~ 영구 없다
시애틀 뉴스
- 시혹스 막판 어이없는 실수로 탬파베이에 패배
- 시애틀 플레이오프 홈서 1승1패로 다시 원점에서
- 워싱턴주 더이상 ‘안전한 주’아니다
- 시애틀 '빈방 나눠쓰기'로 집값·홈리스 문제 풀 수 있을까
- 시애틀 여성 과학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했다
- 보험료 너무 비싸 시애틀 중산층도 무보험 전락
- 시애틀 편의점서 아이스크림·맥주 훔치고 개줄로 직원 폭행
- 오리건 포틀랜드 정치적 갈등에 중심에 서다
- 긱하버 보석 ‘S하우스’ 750만 달러에 매물로 나왔다
- 시애틀지역 배송업체기사가 우편배달부에 총격
- 알래스카항공, 매리너스 팬들 원정 응원 위해 특별항공편 제공
- 시애틀 최고 식당, 이젠 어떤 방향으로 가나?
- 스타벅스 시애틀명소 리저브 로스터리까지 폐점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