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20만원 vs 120만원…산후조리원 가격, 강남·지방 33배 격차

일반실 상위 10곳 중 7곳이 서울 강남구

남인순 "시설 줄고 비용 올라 선택권 제한…공공조리원 확대해야"


서울 강남구의 한 산후조리원이 2주 이용요금 4020만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북 군산의 조리원은 같은 기간 120만 원으로 지역 간 이용요금 격차가 33.5배에 달했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 이용요금은 최고 4020만 원, 최저 120만 원으로 조사됐다.


일반실 기준 최고 요금은 서울 강남의 A·H 산후조리원(1700만 원), 최저는 전북 군산 M 산후조리원(120만 원)이었다. 특실의 경우 강남 D 산후조리원이 4020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남 강진군 공공산후조리원이 154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산후조리원 특실의 2주 이용요금 최고가는 2021년 2600만원에서 2025년 4020만원으로 4년 새 1.55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실 요금 상위 10곳 중 7곳이 서울 강남구에 집중됐으며, 나머지는 용산구·강서구·경기 성남시에 각각 1곳씩 분포했다. 상위 10곳의 평균 이용요금은 1260만 원으로, 하위 10곳 평균(150.1만 원)보다 약 8.4배 높았다. 특히 하위 10곳 중 6곳은 공공산후조리원으로, 평균 요금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남 의원은 "보건복지부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개소에서 2024년 하반기 460개소로 줄었고, 같은 기간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232만 원에서 355만 원으로 100만 원 넘게 올랐다"며 "시설은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산후조리시설을 선택할 권리가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 일반실 평균 이용금액은 약 174만원으로 민간의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 설치 수는 21개소에 불과하다"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를 통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질 높은 산후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의원이 대표로 발의해 지난 2021년 통과된 모자보건법 개정으로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운영 근거가 마련된 이후 밀양·김천·상주·순천·화천·양양·포천·서대문 등 8곳이 새로 문을 열어 21개소로 늘었으나 전체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남 의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공공산후조리원을 적극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