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천조국 레이더도 못찾았다…미국에 숙제 남긴 'F-35 미스터리'
- 23-09-19
지난 18일 미국 언론들은 'F-35 미스터리'를 헤드라인으로 내걸었다. 미국이 자랑하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 라이트닝 Ⅱ가 비행 도중 조종사만 남기고 실종됐기 때문이다.
이 미스터리는 하루 전인 17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상공에서 F-35B를 몰고 훈련 비행을 하던 미 해병대 조종사가 비상 탈출하면서 시작됐다.
해당 전투기를 운용해온 찰스턴 기지 대변인은 탈출한 조종사가 무사하다고 밝혔지만, 고장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인지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비상 탈출했고 전투기의 행방은 찾을 수 없다고 밝혔다.
한 대당 가격이 1천억 원을 넘어가는 최첨단 스텔스기가 실종되자 현지에선 많은 추측이 쏟아졌다.
사고 당시 실종된 전투기가 '자동조종 모드'로 비행 중이었기 때문에 조종사 없이 어딘가에서 계속 비행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나왔다.
F-35의 뛰어난 스텔스 성능 때문에 미 국방부조차 추적할 수 없었고, 레이더에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호수나 바다에 추락했을 것이란 추측도 신빙성을 얻었다.
미군은 전투기가 사라진 곳에서 약 50km 떨어진 멀트리 호수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가장 큰 호수인 매리언 호수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수색작업을 벌였다.
이와 함께 일반 대중들이 잃어버린 비행기를 발견하면 전화로 신고할 수 있도록 전국 방송사를 통해 전화번호를 공개하기도 했다.
공화당 소속의 이 지역 하원의원인 낸시 메이스는 "어떻게 F-35를 잃어버릴 수 있나?"라며 "추적 장치가 없는데 어떻게 대중에게 F-35를 찾아달라고 요청하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영국 왕립항공학회지인 에어로스페이스 편집장 팀 로빈슨은 소셜미디어에 골프장에 있는 F-35 사진을 올리며 "뭐가 문제인가? 골프 라운딩을 위해 몰래 나갔을 뿐이다"라고 조롱했다.
결국 사고 발생 24시간을 넘겨 잔해가 발겼됐다. 찰스턴 기지는 성명을 통해 기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2시간 거리에 있는 윌리엄스버그 카운티에서 실종된 F-35B의 잔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미스터리는 끝났지만 F-35의 신뢰도에는 큰 금이 갔다.
이번에 사고가 난 F-35B는 기존 F-35A를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형태로 개량해 미 해병대에서 공중강습과 함재기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불과 9개월 전인 지난해 12월에는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 기지에서 수직 이륙하던 F-35B가 추락했고, 그보다 1년 전인 2021년에도 영국 공군의 F-35B가 항모에서 이륙하던 도중 지중해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
지난 2018년 F-35 모든 버전을 통틀어 최초의 추락사고가 난 것도 F-35B 기종이다.
이번 사고와 유사한 사례로는 1989년 폴란드 상공을 날던 소련의 미그(Mig)-23 전투기가 오작동을 일으켜 조종사는 탈출하고 전투기는 900km 떨어진 벨기에에 추락한 사고가 있었다. 그러나 Mig-23은 F-35와 비교조차 할 수 없을 만큼 구형 전투기여서 이번 F-35 실종 후 추락사고는 그야말로 굴욕이라고 할 수 있다.
미 해병대 사령관 대행인 에릭 스미스 대장은 이틀간 모든 해병대 항공 부대에 '작전 중지'를 지시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난 3월 F-35A 전투기 20대 가량을 추가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최근 미 국무부로부터 F-35 구매에 대한 승인을 받기도 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인 뉴스
- 시애틀한국교육원 또 큰일 해냈다-UW과 대학생인턴십 위한 MOU체결
- 한인 줄리 강씨, 킹카운티 이민난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합병 후에도 그대로 10년 더 쓴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일~10월 9일)
-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박노현교수 초청 문학특강 연다
- 시애틀 한인업체, 올해의 킹카운티 수출소기업상 받았다
- 한인 리아 암스트롱 장학금 올해도 16명에-23년간 54만9,000달러 전달
- 한인생활상담소 "미국 시민권 무료신청 해드립니다"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추석 ‘한가족 한마당’ 성황리에 개최
목록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시애틀한국교육원 또 큰일 해냈다-UW과 대학생인턴십 위한 MOU체결
- 한인 줄리 강씨, 킹카운티 이민난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합병 후에도 그대로 10년 더 쓴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일~10월 9일)
-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박노현교수 초청 문학특강 연다
- 시애틀 한인업체, 올해의 킹카운티 수출소기업상 받았다
- 한인 리아 암스트롱 장학금 올해도 16명에-23년간 54만9,000달러 전달
- 한인생활상담소 "미국 시민권 무료신청 해드립니다"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추석 ‘한가족 한마당’ 성황리에 개최
- 시애틀통합한국학교, 송편 만들기 등 성대한 추석행사 열어
- 상담소 "10월20일부터 바뀌는 시민권시험 이것은 아셔야"
- <속보> 故이시복 목사 돕기 모금액 1만4,000달러 넘어서
- 린우드 한식당 아리랑2.0, 추석패키지 50개 한정 판매한다
- 서북미문인협회 소속 김지현씨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대상
- 시애틀 한인 여대생, 미국 대통령 장학생 최종 선발 화제
- [시애틀 재테크이야기] 띠리리 리리리~~ 영구 없다
- [시애틀 수필-정동순] 썩을
- [신앙칼럼-허정덕 목사] '물 댄 동산'을 꿈꾸며
- [서북미 좋은 시-신인남] 노랑, 열매
- <속보> 故이시복 목사 돕기 모금액 1만 달러 육박
- 타코마서미사 추석차례 및 故일면스님 다례식
시애틀 뉴스
- 워싱턴주 더이상 ‘안전한 주’아니다
- 시애틀 '빈방 나눠쓰기'로 집값·홈리스 문제 풀 수 있을까
- 시애틀 여성 과학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했다
- 보험료 너무 비싸 시애틀 중산층도 무보험 전락
- 시애틀 편의점서 아이스크림·맥주 훔치고 개줄로 직원 폭행
- 오리건 포틀랜드 정치적 갈등에 중심에 서다
- 긱하버 보석 ‘S하우스’ 750만 달러에 매물로 나왔다
- 시애틀지역 배송업체기사가 우편배달부에 총격
- 알래스카항공, 매리너스 팬들 원정 응원 위해 특별항공편 제공
- 시애틀 최고 식당, 이젠 어떤 방향으로 가나?
- 스타벅스 시애틀명소 리저브 로스터리까지 폐점한 이유는
- 아기 둥둥 너바나 그 사진 주인공 "아동성착취" 또 패소…"음란물 아냐"
- ‘반(反) LGBTQ' 기독단체, 시애틀시와 해럴시장 상대 소송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