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겨냥 '이종섭 도피 의혹' 수사…특검, 연휴 뒤 박성재·장호진 조사

해병특검, 조태열·조태용·심우정·이노공·이원모 조사

공관장 자격심사·출국금지 해제 심의 '尹 지시' 집중 수사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범인도피 의혹(일명 '런종섭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이 의혹의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 소환조사를 위한 준비를 이어가고 있다. 특검팀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과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의 피의자 조사를 진행한 이후 윤 전 대통령을 조사할 계획이다.


3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특검팀은 이달 9일까지 이어지는 추석 연휴 이후 박 전 장관, 장 전 실장의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범인도피 혐의 피의자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런종섭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말부터 대통령실·법무부·외교부 관계자들과 공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서 순직해병 수사외압 의혹 피의자로 입건한 이 전 장관을 도피시킬 목적으로 주호주대사에 임명했다는 내용이다.


외교부의 경우 이 전 장관에 대한 공관장 자격심사를 졸속으로 진행한 의혹이 제기됐다. 법무부는 피의자 신분인 이 전 장관의 인사 검증을 부실하게 진행하고, 그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를 부당하게 해제한 의혹을 받는다.


국가안보실은 지난해 22대 총선을 앞두고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으로 나빠진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같은 해 3월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방산 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를 급조했다는 의심을 받는다.


박 전 장관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뒤를 이어 지난해 2월부터 법무부 장관으로서 이 전 장관의 법무부 출국금지심의위원회 의결 내용을 보고받고 결재하는 위치에 있었다.


장 전 실장은 지난해 1월부터 국가안보실장으로 재직하며 주호주대사로 출국한 이 전 장관의 귀국을 위한 '방산 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를 기획하고 관리·감독한 자리에 있었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을 상대로 법무부 장관 취임 직후 윤 전 대통령의 강조사항,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를 해제한 배경 및 이와 관련한 윤 전 대통령 등의 지시 보고사항 등을 집중적으로 물어볼 계획이다. 아울러 장 전 실장에게 방산 협력 공관장 회의를 기획한 배경과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사항을 집중 추궁할 전망이다.


특검은 지난 8월 법무부, 외교부, 대통령기록관 등과 의혹 관련자의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참고인·피의자 조사를 진행했다.


특검은 지난달 24일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피의자 조사에서 '방산 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 개최 배경에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박진 전 외교부 장관 피의자 조사에서 이 전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 과정이 비정상적이었고, 윤 전 대통령의 의지가 강해 이를 거스를 수 없었다는 내용의 진술도 받아냈다.


특검은 이 전 장관 공관장 자격심사 당시 위원장을 맡은 김홍균 전 외교부 1차관 조사에서 '심사가 미진했다'는 진술 또한 확보했다.


특검은 지난 1일 외교부에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내정 및 임명 절차 준비를 지시한 이원모 전 대통령비서실 인사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했고, 지난달 30일 심우정 전 검찰총장(의혹 당시 법무부 차관), 23일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을 각각 피의자로 불러 조사했다.


아울러 특검은 지난 8월 이 전 장관의 인사검증을 맡은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의 박행열 전 단장, 이 전 장관 관련 출국금지심의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은 이재유 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을 각각 피의자로 조사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 논의를 시작할 무렵 법무부 장관으로 재직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그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