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내주 대법원 심리 시작…한미 무역 합의도 갈림길
- 25-11-02
1심과 2심에서 모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측이 패소한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한 대법원 심리가 다음 주 시작되면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이 재판에서의 결과에 따라 당장 10월 말 한국 등이 미국과 맺은 상호관세의 운명이 갈리게 된다.
미 외신들에 따르면 미연방대법원 심리는 오는 5일(현지시간) 열린다. 쟁점은 미국 대통령이 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다. 1심에서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은 위법 판단, 2심 연방항소법원도 “해당 조치는 헌법과 의회가 대통령에게 부여한 권한을 초과한 것”이라며 1심 판단을 유지했다.
이들 법원의 판단은 IEEPA가 행정명령을 통해 수입 규제를 넘어서서 관세까지 부과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준 것은 아니라는 것이었다. 무역 적자가 국가 비상사태인지 모호한 점, 그에 대응해 취할 수 있는 조치로 관세가 명시되지 않은 점도 지적됐다.
미연방대법원 대법관 9명은 보수 6명, 진보 3명으로 구성됐다. 보수 성향 대법관이 다수이긴 하나, 이번 사안은 권한 분립과 관련된 헌법적 쟁점이기 때문에 정치적 성향과는 무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이번 소송에서 지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방법으로 관세를 징수할 수 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최근 대법원 소송의 대상이 아닌 무역확장법 232조가 "중요하고 핵심적인 분야의 방대한 무역을 포괄한다"면서 소송에서 지더라도 이를 이용해 관세 정책이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조항은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의 근거이기도 하다.
한편 재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면 해당 관세가 부당 징수로 간주해 관세환급이 이뤄질 수 있다. 미국에 해당 관세를 실제로 납부한 미국 내 수입자가 세관에 환급 신청을 하면 환급이 가능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시애틀총영사관 포틀랜드순회영사 성황리에 마쳐
- 제22기 평통 시애틀협의회 전체 자문위원 113명
- 시애틀한인회, 한인과 시애틀경찰과의 만남 개최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1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1일 토요합동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1일 토요산행
- ‘한인끼리 맞붙은 킹카운티 선거’… 피터 권 고전, 스테파니쪽이 강세
- 국제결혼여성총연합회 2025세계대회 인천서 성황리에 열려
- 유니뱅크 3분기 25만8,000달러 손실 발생했다
- 시애틀총영사관, UW서 광복80주년기념 콘서트연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1일~11월 6일)
- 한인입양가족재단 ‘할로윈 문화체험행사’
- US메트로은행 3분기 순익, 294만달러로 1년전보다 69% 급증
- 평통 시애틀협의회장에 황규호씨-미주 부의장엔 이재수씨
- 아마존 사무직 1만4000명 해고 단행..내년 1월에 다시 해고
- 형제교회 권 정 장로, 새롭게 출범한 세계한인탁구협회 회장으로 선출
- 밸뷰통합한국학교 학생들 "독도는 우리 땅"
- 김민석 총리,오리건주지사 접견…"코리안데스크 설치 관심 가져달라"
- 아시아나항공, 항공권 대폭 할인행사 진행
- [시애틀 재테크이야기] 행복한 은퇴를 꿈꾸며(상)
- [시애틀 수필-문해성] 밥
시애틀 뉴스
- 아마존 CEO가 밝힌 1만4,000명 감원한 진짜 이유는?
- 타코마 30대, 워싱턴주지사 살해협박했다 체포돼
- 시애틀지역 남성, 매복했다 부인 총격 살해
- 올해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 로고, 시애틀 디자이너 손에서 탄생
- 인구 1만명도 안되는 우딘빌 선거서 25만달러 쏟아부어
- 시애틀 소도서 도끼 들고 있던 남성 경찰총격에 사망
- 아마존 이번 해고때 시애틀서 2,303명 잘랐다
- “비오는 할로윈”… 시애틀, 주말까지 최대 4인치 폭우 예보
- “땡큐 AI” 아마존 깜짝 실적, 시간외서 9% 폭등
- 미국 혈압약 ‘프라조신’ 58만병 리콜… 발암물질 기준 초과 검출
- 시애틀시 아동보육비 지원 대폭 확대… 2,000가구 추가 혜택
- 워싱턴주 밴쿠버 할로윈행사에 ICE복장 입고 나타나다니
- 워싱턴주 푸드뱅크 중단 위기에 긴급 지원금 투입키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