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튜브로 서울~부산 30분…'꿈의 이동수단' 청사진 나온다

하이퍼튜브 개발 및 운영 로드맵 수립 연구용역 사전 공고

세계적 개발 경쟁 본격화…기술 선점 필요


공기저항이 없는 진공에 가까운 튜브 내에서 자기력으로 열차를 부상시켜 시속 1200㎞의 속도를 내는 '꿈의 이동수단' 하이퍼튜브(한국형 하이퍼루프)의 로드맵이 수립된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하이퍼튜브 개발 및 운영 로드맵 수립 연구용역'에 대한 사전 규격 공고를 냈다. 사전 규격은 발주에 앞서 공개하는 조달요청서로, 정부는 조만간 정식 용역 발주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등 차기 상위 법적 계획과의 연계를 목표로 하이퍼튜브 인프라 구축, 핵심기술 확보 등의 추진전략 및 이행과제를 도출한다는 방침이다.

연구의 배경으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하이퍼루프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한국이 핵심기술을 선점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반 연구가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할 필요성이 있어서다.

미국은 2017년 무인 시험에서 시속 387㎞를 달성한 데 이어 2020년에는 시속 172㎞의 유인 시험에도 성공했다. 유럽연합(EU)도 2.5㎞ 길이의 시험선 건설에 한창이다. 일본은 공기와 마찰이 있는 상태로 운영돼 하이퍼루프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도쿄~나고야 구간에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한 시속 500㎞급 자기부상열차 노선을 짓고 있다. 한국 또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2020년 하이퍼루프를 17분의 1로 축소한 모형 시험을 통해 시속 1019㎞ 주행에 성공한 바 있다.

하이퍼튜브 핵심기술을 먼저 확보하느냐가 관련 시장을 선점하는 관건이라는 것이 국토부의 시각이다. KTX는 세계 4번째 고속철도 개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선도 기술이 장벽으로 작용해 수출에 곤란을 겪었기 때문이다.

연구의 골자는 △국토교통 현황 및 문제점 진단 △하이퍼튜브 관련 국내외 정책 및 개발 동향 분석 △하이퍼튜브 역할 및 효과 분석 △추진전략 및 이행과제 제시 등이다.

국토 균형발전, 탄소중립 실현, 인구구조 변화 등 사회적·정책적 이슈를 우선 도출한 뒤 하이퍼튜브 관련 국내외 기술 현황 및 개발역량 등을 분석한다.

더불어 전문가 자문 및 의견수렴 등을 통해 지역 불균형 완화 효과, 교통 분야 탄소중립 기여도, 이동 시간 단축에 따른 국가 생산성 제고 효과 등을 바탕으로 하이퍼튜브의 역할 및 효과를 모색한다.

이어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확보 전략,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전략, 형식승인 등 제도 기반을 마련한다. 이처럼 마련된 과제별로 수행 시기 및 주체 등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연계성 등을 고려한 하이퍼튜브 추진 로드맵을 제시할 계획이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총괄위원회에서도 지난 1월 하이퍼튜브 기술개발 사업을 '2022년 제4차 국가연구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하면서 "종합 분석을 통해 사업의 마스터플랜 마련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올해 하반기쯤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통과하면 국토부는 2025년 전북 새만금 등 테스트베드에 짧은 구간 시험 등을 거쳐 12㎞의 본 시험선로를 건설하는 1조원 규모의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과기부에서 현재 연구개발(R&D) 비용의 예비타당성 심사를 하고 있는데 이번 로드맵 연구는 조금 더 종합적으로 기본 계획 성격을 갖고 진행하는 연구"라며 "초기 기반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