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랜딩' 美 연내 금리인하 불투명?…한국 인하 시점은

3월 미 고용지표 호조…일각서 "금리 인하 필요성 의문"

한은도 인하 늦출 수 있지만 미국과 차별화 여지 열어둬


미국의 탄탄한 경제 지표로 인해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향방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있다. 이제 미국에서는 연내 정책금리 인하가 아예 단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조심스레 고개를 든다.

 

이에 한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도 제기되나, 전문가들은 여전히 7~8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10일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 수는 한 달 새 30만 3000명 증가하면서 시장 예상치인 20만 명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이에 전날 미 채권시장은 약세(금리 상승)를 보였다. 미 경제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호조라는 의미이기에 연준이 굳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었기 때문이었다.

자연스레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종전보다 더 사그라들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전날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연말까지 금리 인하를 단 2차례에 그칠 확률을 32.8%로 반영했다. 이어서 3차례일 확률을 31.4%로 잡았으며 4차례일 확률은 14.1%로 평가했다.

하루 전만 해도 3차례 인하 확률을 가장 높게 봤던 시장(3차례 33.2% 대 2차례 30.3%)이 하루 만에 가장 유력한 예상 시나리오를 바꾼 셈이다.

연내 금리 인하가 없을 수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도 나왔다.

연준 내 매파(통화 긴축 선호) 인사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지난 4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이 계속 횡보하면 금리 인하가 정말 필요한지 의문이 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문가들은 한은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을 7~8월로 보면서도 만일 미국의 '노랜딩' 시나리오에 따라 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기조가 현실화할 경우 한은의 금리 인하 역시 충분히 뒤로 늦춰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권기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하는 7월쯤 예상되나 더 늦출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의 경우는 비용 인상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 경제 지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진 탓에 미국보다 먼저 강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 태도를 보이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성장세가 한국과 달리 좋아 시장은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으로 6월이냐, 아예 하반기냐를 보는 상황"이라며 "아직은 6월 첫 인하 단행이 가능해 보이나 연내 총 인하 횟수가 줄어들 수 있어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통화정책 피벗(전환)에 있어 국내 여건의 중요성을 강조한 한은 총재 발언을 고려하면 7~8월 기준금리 인하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하게 평가된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현시점에서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를 경기 대응과 연계하면 답이 나오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글로벌 경제에는 금융 안정 리스크가 존재하고 이를 정부와 정책 당국이 덮어놓은 상황인 터라 이런 리스크를 줄여주는 목적의 금리 인하가 6월부터 서서히 단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작년, 재작년 같은 경우는 미국의 인상 속도가 굉장히 빨라 미 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입장이었는데 역사적으로 봤을 때 미국이 피벗을 하면 각국은 국내의 물가 상승률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차별화된 정책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고 언급했다.

또한 한은은 2월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와 미국, 유럽의 물가 둔화 흐름이 앞으로는 각국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각국의 통화 긴축 기조 전환 시점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