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공화 조던, 하원의장 후보직 사퇴, 24일 새 후보 선출…공백사태 장기화

3차 표결 후 실시된 의총 비밀투표서 '조던 후보 지지 안해' 압도적 다수

조던, 투표 결과 수용…하원의장 공백 사태 장기화


미국 연방하원이 20일(현지시간) 사상 초유로 해임된 케빈 매카시 전 하원의장의 후임을 선출하기 위한 본회의를 재개해 3차 투표를 실시했지만 또 다시 의장 선출에 실패했다.

특히 하원 다수당 공화당의 후보였던 짐 조던 법사위원장이 당내 투표 끝에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하원의장 공백 사태는 더욱 장기화될 전망이다.

미 하원은 이날 오후 하원의장 선출을 위한 3차 투표를 진행했지만, 출석 의원의 과반 득표를 한 후보가 나오지 않아 또 다시 하원의장 선출이 불발됐다.

3차 투표는 재적 433명(2석 공석 제외) 중 해외 출장 등으로 불참한 4명을 제외한 429명이 참여했다. 과반득표의 문턱이 215명으로 낮춰졌음에도 불구하고 의장 선출에 실패한 것이다.  

공화당 후보인 조던 위원장은 194표를 얻는 데 그쳐 민주당 후보인 하킴 제프리스 원내대표(210표)에게 또 다시 뒤졌다.

조던 위원장을 반대하는 이탈표는 1차 투표 때 20표, 2차는 22표, 3차에선 25표로 계속 증가했다.  

공화당 이탈표들은 매카시 전 의장의 해임 뒤 의장 후보로 선출됐다 강경파들의 반대로 자진사퇴한 스티브 스컬리스 원내대표(8표)와 맥헨리 의장대행(6표), 리 젤딘 전 의원(4표), 매카시 전 의장 및 바이런 도널즈 의원(각각 2표) 등에게 갔다.

하원의장 선거는 각 당에서 후보를 추천한 뒤 의원들이 이름(알파벳) 순서대로 호명을 받으면 직접 지지 후보의 이름을 밝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친(親)트럼프 강경파'로 분류되는 조던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당내 강경파들의 지지를 등에 업고 후보로 선출됐지만, 결국 당내 중도파들의 불만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면서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당내 중도파들은 매카시 전 의장의 해임과 스컬리스 원내대표의 자진 사퇴 과정에서 강경파들의 행보에 강한 불만을 토로해 왔다.

 

이날 투표를 앞두고 지난 3일 당내 강경파에 의해 사상 최초로 의장직에서 해임된 매카시 전 의장이 직접 나서 조던 위원장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지만, 당내 이탈표를 막지 못했다.

의장 공백 사태를 초래한 맷 게이츠 의원 등 당내 강경파들은 자신들에 대한 징계를 받아들이는 대신 조던 위원장을 지지해 달라는 서한을 공개했지만, 의원들을 설득하는 데엔 역부족이었다.

3차 표결 이후 공화당은 비공개 의원총회를 열고 조던 위원장의 후보직 유지 여부에 대한 비밀 투표를 진행했고, 그 결과 조던 위원장을 당의 후보로 지지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압도적인 대세였다고 마이크 켈리 의원이 말했다고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전했다.  

이에 조던 위원장은 "결정을 존중한다"며 투표 결과를 수용,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차기 의장을 선출하기 위해 "우리는 하나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공화당은 오는 22일 정오까지 입후보를 받은 뒤 23일 오후 6시30분 후보 토론회를 거쳐 24일 당 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라고 CNN 등 미 언론들은 보도했다.  

현재 공화당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의원모임인 '공화당 연구위원회'를 이끌고 있는 케빈 헤른 의원과 오스틴 스콧 의원 등이 출마 의사를 밝히고 있다.

공화당이 혼돈을 겪으면서 지난 3일 매카시 전 의장 해임결의안 처리 이후 시작된 하원의장 공백 사태는 장기화 국면을 이어가게 됐다.

특히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공격을 받은 이스라엘과 2년 가까이 러시아와 싸우고 있는 우크라이나 등을 위한 1050억달러 규모의 긴급 안보 예산이 이날 의회로 송부됐지만, 이같은 입법 마비 사태로 인해 언제 처리될 수 있을지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내달 중순에는 임시예산의 기한도 종료되는 만큼 2024 회계연도 정부 예산 처리가 제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 사태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일각에선 긴급한 현안을 처리하기 위해 하원의장 선출되기 전까지 임시의장을 맡고 있는 패트릭 맥헨리 의장대행의 권한을 확대하는 결의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