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1명이 날벼락…온가족 무너뜨리는 치매 피해가려면

65세 이상 10% 진단, 젊은 환자도 2만명 달해

치료제 없어…조기 발견과 예방 무엇보다 중요


"내가 여기 뭐 사러 왔지? 분명히 뭐 하나가 빠졌는데 기억이 안 나네… 혹시 나, 치매인가?"

무언가가 기억이 잘 안 날 때면 '혹시 나도 치매인가'라는 생각을 한 번쯤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만큼 치매라는 질환은 전 세계인 모두가 두려워하는 무서운 존재다. 그도 그럴 것이 의학 기술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음에도, 치매를 완전히 없앨 치료제는 아직 없기 때문이다.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해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치매는 보통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의미한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65세 이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치매인데, 우리나라 치매 환자의 50~60%가 이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앓고 있다.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 박사가 최초 보고해 이름이 붙게 된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전 세계가 그만큼 극복하고 싶어 하는 질환으로,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알츠하이머협회(ADI)가 9월 21일을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로 정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도 같은 날을 '치매극복의 날'로 정해 매년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 등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치매 환자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2016년 약 66만명에서 2021년 약 88만명, 지난해 약 93만5086명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65세 이상 인구(약 950만명)의 약 10%가 치매로 고통 받고 있다는 의미다.

임재성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매우 서서히 발병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이라며 "주된 증상으로는 기억 장애, 지남력(指南力) 장애, 주의력 장애, 언어 장애, 시공간 파악 기능 장애, 전두엽 수행능력 장애 등과 같은 신경인지기능 이상이 있다"고 설명했다.

© News1 DB
© News1 DB


하지만 치매는 노인들에게만 찾아오는 질환이 아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5세가 되지 않았음에도 치매 진료를 받은 환자는 지난해 2만405명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7월까지 진료를 받은 환자도 1만6332명에 달했다.

지난 1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병저널에는 중국인이 17세부터 기억력 감퇴를 겪기 시작해 19세에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았다는 사례가 소개되기도 했다. 퇴행성 뇌질환이라는 이유로 고령층에서만 발생하는 질환으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다.

임 교수는 "최근 연구에 따르면 40대, 심지어는 그 이전부터 치매의 과정이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다"며 "청소년기부터 각 시기에 적절한 위험인자 관리가 필요한데, 이를 통해 치매를 절반 가까이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돼 있다"고 설명했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먼저, 치매 전조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만 떨어져 있을 뿐 아직 모든 일상생활을 스스로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상태다.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 때문에 발생하는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우울증 역시 경도인지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전문 치료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치매로 발전하지 않을 수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 초기 단계에 접어들면, 우울증 등 기분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별일 아닌 것에 쉽게 화를 내는 등의 감정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병이 점차 진행하면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믿는 망상, 헛것을 보는 환각, 음식이나 돈에 대한 집착, 특정 물건들을 주워오는 행동변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병의 근간을 없애는 약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중증화를 막는 것이 유일한 치료다. 이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를 시작해 중증 치매로 악화하는 것을 막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임 교수는 "병을 없앨 수는 없지만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하면 중증 치매로 악화되는 것을 막아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시기를 연장할 수 있다"며 "약물치료가 주된 방법이지만 그 외에도 고혈압, 당뇨병, 흡연, 심장질환 등 위험인자를 잘 조절하는 것이 인지기능 저하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을 제거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돼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FDA)에서 승인을 받았지만 여전히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다른 약물들에 대한 임상시험들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며 "향후 5~10년 이내로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단과 치료 방향에 큰 혁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르신들이 치매 예방 로봇과 함께 춤을 추고 있다. /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어르신들이 치매 예방 로봇과 함께 춤을 추고 있다. /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그럼에도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가장 발병률이 높은 노년기에는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것이나 우울증을 피해야 한다.

지난 7월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뉴롤로지'(Neur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된 일본 규슈대학교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접촉이 거의 없는 노인은 접촉이 많은 사람보다 치매에 영향을 받는 뇌 영역 전반에서 용적 손실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꾸준한 운동도 중요하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은 최근 '신체적으로 건강한 노인에서 중년의 고강도 걷기와 기억과의 연관성' 연구에서 40세 이상 중년층부터 고강도의 걷기 운동을 하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기도 했다.

임 교수는 "나이가 들면서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매일매일 심해져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라면 치매를 의심하고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