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건강] '매독' 초기 통증 없다가 전신 발진…"초기대응이 중요"

국내 환자 수도 증가…4급→3급 감염병으로 상향
초기 증상 가볍고 전염력 강해 "주기적인 검진 필요"
 
세계적으로 흔한 성병인 '매독'이 최근 각국에서 다시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환자가 꾸준히 증가해 질병관리청이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의료진은 "치료법이 잘 갖춰졌다"며 의심되면 진료를 받고 감염이 확인되면 성접촉·성관계 상대에게 알리는 게 매독 확산을 막는 길이라고 진단했다.

일본의 매독 확산세는 꺾이지 않고 있는데, 전문 의료진 부족으로 진단과 치료에 비상이 걸린 것으로 전해진다. 올해 들어 7월까지 일본에서 8349명의 매독 환자가 신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 6385건보다 30%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일본 전국 47개 도도부현(광역단체) 중 올해 신규 매독 환자가 안 나온 지역은 없었고 도쿄도에서는 가장 많은 2052건이 보고됐다. 반면 매독 진단과 치료에 대응할 성병 전문의는 일본에 479명뿐이다.

일본의 한 성병 전문의는 현지 매체를 통해 "진료받고 싶어도 받을 수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예방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환자급증 원인으로는 데이트 애플리케이션(앱) 보급 등이 꼽힌다. 불특정 다수의 사람과 만나 가벼운 만남을 갖는 게 쉬워진 데 따른 부작용인 셈이다.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에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증이다. 주로 성관계로 전파되지만, 매독 병변에 대한 직접 접촉, 혈액으로도 가능하다. 임신부가 매독에 감염되면 자궁 내 감염으로 태아감염이 될 수도 있다.

질병관리청이 지난 17일 발간한 '성매개감염병 감시 월간소식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매독은 올 7월까지 6개월간 누적 환자가 201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 189건 대비 10% 증가했다. 매독은 2024년부터 4급에서 3급 감염병으로 상향 조정돼 표본감시에서 전수감시 대상으로 바뀐다.

김수영 순천향대 서울병원 피부과 교수 설명에 따르면 매독은 감염 후 증상별로 시기가 나뉜다. 1기에는 성기에 무통성 궤양이, 2기에는 전신 피부발진이 나타난다. 1~2기 조기 매독 환자와 접촉하면 감염률은 문헌에 따라 30~88%로 보고됐다.

잠복기는 10~90일(평균 3주)으로 증상이 없지만 혈액 검사에서는 매독 감염이 발생하는 시기다. 1기에는 성기에 1개 또는 수개의 딱딱하고 중심부가 꺼진 궤양 형태의 '경성하감'이 나타난다. 수 ㎜에서 2㎝ 정도 크기며 통증이 없는 게 특징이다. 고샅부 임파선이 함께 커지기도 한다.

특히 치료하지 않아도 3~6주 뒤에 자연 소실되기 때문에 놓치는 경우도 있다. 이때 3~12주(최대 6개월)가 지난 뒤 2기로 진행한다. 전신에 발진이 나타나고 발열, 관절통, 뇌막염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1~2기 조기 매독은 전염력이 강해 타인을 전염시킬 수 있다. 성접촉·성관계를 피해야 한다.

이후 수년에서 수십년에 걸쳐 3기로 진행되면 피부, 신경계, 심혈관 증상이 드러난다. 피부에 양성 고무종을 형성하거나 중추신경, 심혈관에 침범해 심각한 손상을 준다. 심혈관을 침범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김수영 교수는 "매독 환자를 피부과에서도 많이 만나는데 매독의 가장 흔하고 명확한 증상들이 피부로 나타난다"면서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감염 시기와 증상에 따라 1~3회 맞으면 대부분 잘 치료된다"고 설명했다.

1기 매독의 경우 90일 이내, 2기 매독의 경우 6개월~1년 이내 성접촉·성관계 상대에게 사실을 알리고 매독 감염에 대해 전문의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매독이 걸리면 혈액검사로 4주 뒤부터 양성으로 나온다. 매독으로 진단된 모든 환자들은 다른 성병 검사도 함께 진행한다.

비뇨의학과 전문의인 삼성플러스비뇨의학과의 김경태 원장은 "매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성생활, 주기적인 성병 검진이 가장 중요하다"며 "성관계를 할 때 콘돔을 사용하는 게 좋다. 매독 환자의 혈액·체액은 접촉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원장은 "페니실린 주사로 치료가 잘 되기 때문에 성관계 후 매독 감염이 의심되면 증상이 없더라도 비뇨의학과 전문의 등의 진료를 받는 게 좋다. 초기에 발견하면 1회 맞지만, 치료가 늦어질수록 여러 번 주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