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성범죄 피해자 75%가 여성…절반은 "가해자 알 수 없어"

 

피해자 36%는 10~20대…'유포' 관련 피해 67.5%
삭제 지원 전년보다 25.8%↑…성인사이트 44.7%

 

#. 미성년자인 A씨는 온라인 상에서 신원미상의 사람으로부터 성적인 영상 촬영을 강요받고, 해당 영상을 유포하겠다는 협박에 시달리다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찾았다.

피해자 전원이 미성년자인 아동‧청소년 성착취 사건, 일명 '제2의 N번방 사건' 전담 대응팀을 가동 중이었던 디성센터는 센터 이용 피해자 전수 조사과정에서 A씨가 해당 사건 피해자임을 확인했다.

디성센터는 신속하게 삭제 지원을 하며, 가해자 검거를 위해 피해자 지원 과정에서 확보된 채증 자료를 수사기관에 제공하고 성착취물이 주로 유포된 성인사이트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 그 결과 사건 관련 주요 가해자들을 신속하게 검거할 수 있었다.

지난해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해 피해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는 총 7979명으로 집계됐다.

피해자 중 약 75%가 여성이었으며, 10대와 20대가 약 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가 누구인지 전혀 파악할 수 없는 경우도 절반에 달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지난해 디성센터에서 지원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피해 양상과 피해 지원 현황 등을 분석한 '2022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20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전년(6952명) 대비 약 14.8% 증가한 7979명의 피해자가 디성센터에서 상담, 삭제지원, 수사‧법률‧의료지원 연계 등 총 23만4000여건(전년 대비 24.7% 증가)의 서비스 지원을 받았다.

서비스 지원 건수 증가는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에 대한 선제 모니터링을 통한 삭제 지원이 4만8719건에 달했던 데 더해, 일명 '엘' 성착취 사건 등 수사기관에서 연계한 긴급사례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지역사회 피해자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2021년부터 지원하고 있는 디지털 성범죄 특화프로그램 운영기관 등 피해지원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지원이 건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75.3%(6007명) 남성이 24.7%(1972명)로 여성 피해자의 수가 전년(5109명) 대비 약 1.14배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10대(18.0%)와 20대(18.0%)가 전체의 36.0%인 2873명으로 나타나, 연령을 밝히지 않은 피해자 53.3%(4254명)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일상화된 저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피해자와 가해자 관계를 살펴보면 가해자가 누구인지 전혀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49.4%(3942명) 일시적 관계 28.8%(2295명) 가해자가 특정됐으나 피해자와 일면식이 없는 모르는 사람인 경우가 9.1%(730명) 친밀한 관계 7.5%(603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디성센터에 접수된 1만2726건 중 유포불안이 30.1%(3836건)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불법촬영 21.1%(2683건), 유포 19.5%(2481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유포, 유포협박 및 유포불안 피해가 전체 피해 유형의 67.5%에 달했다.

피해촬영물 삭제 지원은 총 21만3602건으로 전년(16만9820건) 대비 약 25.8% 증가했다. 플랫폼별 삭제 지원은 성인사이트가 44.7%(9만5485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검색엔진 17.3%(3만7025건), 소셜미디어 14.5%(3만1053건) 등 순이었다.

피해촬영물과 함께 피해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는 2022년 전체 삭제 지원 21만3602건의 18.0%인 3만9298건으로 나타났다. 삭제 지원한 개인정보 유형은 연령이 50.0%(2만4445건)로 가장 많았고, 성명 39.5%(1만9322건), 소속 8.6%(4213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디성센터는 불법촬영물 삭제지원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서울시 등 지자체 지원센터에서 사용 중인 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불법촬영물을 모니터링하고 삭제 지원할 예정이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게 지원서비스를 종합 안내하고 해당기관으로 자동연결하기 위해 올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구축하는 디지털 신고 자동전화응답시스템과도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여가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올해 디성센터 및 14개 지역의 특화프로그램 운영기관 종사자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 지원기관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역량 강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통합 워크숍도 추진한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