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1일 (토)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5·18기념식, 3년째 '반쪽행사'로 치러진다



<5.18 민중항쟁 제35주년 기념행사위원회 김정길 상임행사위원장(오른쪽)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운동주민센터 인근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의 5.18민주화운동 공식 기념곡 지정 및 기념식 행사 제창을 요구하는 요청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2015.5.6/뉴스1 © News1 허경 기자>



5월 단체 등 불참의사 밝혀…보훈처 예산도 수용 안해

행사위 "기념일 관련 단체들과 회의 통해 공동대응"



5월 단체 등이 제3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불참하기로 결정하면서 3년째 '반쪽 기념식'이 열리게 됐다.


제35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는 6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월 3단체와 5·18기념재단, 광주전남시민사회단체의 대표단과 회원들은 기념식에 공식적으로 참석하지 않고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해 불참을 호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행사위는 "국가보훈처에 대한 항의 표시로 보훈처 예산(행사진행비용)을 전액 수용하지 않겠다"며 "특히 5·18기념행사 당일 구체적인 행동은 관련 단체들과 회의를 통해 공동대응하겠다"고 천명했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에게 면담을 요청했지만 무산되고 말았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민중항쟁의 역사이고 상징인데, 정부가 제창을 거부하는 것은 정부가 국민을 무시하고 5·18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5월 단체 등이 이날 기념식에 불참하기로 결정하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제로 2013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반쪽 기념식'이 치러지게 됐다.

지난 2013년 기념식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무산되면서 5월 단체들과 광주전남진보연대, 통합진보당을 비롯해 일부 정치인들은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고 별도의 행사를 치렀다.

또 지난해 기념식에서도 5·18행사위와 5월 3단체(유족회,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를 포함한 유족들은 정부의 '임을 위한 행진곡' 5·18 공식 기념곡 지정 거부 및 제창 불허에 반발, 기념식에 불참했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지난 1997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공식행사에서 2002년까지 제창됐으며 국가보훈처가 주관했던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공식식순에 포함돼 제창돼 왔다.

하지만 지난 2009년부터 2010년에는 식전 공연으로 진행됐고, 2012년에는 무용배경 음악으로 변형됐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5·18기념식 공식 식순과 임을 위한 행진곡의 공식 기념곡 지정과 제창 등의 여부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이 내부 논의 중이다"고 밝혔다.

또 "공식식순과 임을 위한 행진곡 공식기념곡 지정 등이 언제 결정될지 알 수 없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682  683  68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