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1일 (토)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총기난사' 최씨 유서보니…"연쇄살인범과 공통된 필적"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내곡동 예비군훈련장에서 사격훈련 도중 동료 예비군에게 총기를 난사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모(23) 씨의 유서. (육군 제공) /뉴스1 © News1>



필적 통한 성격 분석 전문가 "충동적·성격급하고 우울증 성향 발견"



예비군 훈련 도중 총기를 난사해 2명을 숨지게 하고 2명을 다치게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모(23)씨 유서에서 연쇄살인범들의 필적에서 보이는 성향이 발견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부장 등을 지낸 구본진 변호사는 최씨가 쓴 유서를 본 뒤 "충동조절이 잘 안되고 성격이 급했을 것"이라며 "연쇄살인범들이 글씨를 쓸 때 보이는 성향도 발견됐다"고 14일 말했다.

구 변호사는 "글씨의 크기가 작고 크고를 왔다갔다 하는데 이는 충동조절을 잘 못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성향"이라며 "'ㄹ'자 등을 쓸 때 굉장히 빨리 쓴 흔적이 나오는 걸로 봐서 성격도 급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씨 크기가 고르지 않은 사람들은 충동을 자제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고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으며 글씨를 한 획 한 획 '완전하게' 쓰지 않은 점 등으로 미뤄 성격이 급했을 것이라는 게 구 변호사 분석이다.

구 변호사는 또 "세로획이 똑바로 내려오지 않고 왼쪽으로 약간 굽는데 이는 우울증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 성향"이라는 분석도 했다.

특히 최씨의 유서에선 연쇄살인범들의 필적에서 종종 나타나는 특징도 발견됐다고 했다.

구 변호사는 "글자들이 다른 글자 간격이나 행 간격을 침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글씨를 쓰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한테 피해를 주는 경향이 있으며 외국 연쇄살인범들의 필적에서 두드러지게 발견된다"며 "최씨 유서에서도 그런 부분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13일 오후 총기 사고가 발생한 서울 서초구 내곡동 52사단 예비군 훈련장에서 군 장병들이 줄지어서 이동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손형주 기자

실제 최씨 이웃주민들에 따르면 최씨는 평소에 윗옷을 자주 벗고 다니며 거의 매일 술을 마셨고 술에 취하면 소리를 지르거나 소리를 지르는 등 충동을 자제하지 못하는 듯한 모습 등을 보였다고 한다.

구 변호사는 대검찰청 정보통신과장, 수원지검 성남지청장 등을 지낸 뒤 현재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범죄자들의 필적을 오랜 기간 연구해온 그는 법무연수원 교수로 재직 중이던 2009년 '필적은 말한다'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범죄심리학자 등 다른 전문가들은 최씨가 '관심병사', '왕따' 생활 등을 경험하며 쌓인 좌절이나 증오로 인해 '외상 후 울분장애'를 겪다 범행을 저질렀을 것으로 추측했다.

공정식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최씨의 경우 '외상 후 울분장애' 증상을 보이는 것 같다"며 "이런 사람들은 사회에서 자신이 차별이나 무시를 받고 있는데 그 책임을 개인이 아닌 사회로 돌리고 전혀 무고한 사람에게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꺼려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이어 "피해의식이 크게 작용해 그럴바에야 죽는 게 낫다고 생각해 극단적으로 생각하고 사건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최씨는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순간적인 좌절이 아니라 오랜기간 동안의 좌절을 갖고 있다"며 "군시절 관심병사와 왕따 등을 겪는 등 사회부적응을 겪었는데 이런 군에 대한 증오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최씨의 경우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일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며 "자기가 살아남아도 자기에게 남은 건 처벌 뿐이란 걸 알기에 자살을 선택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682  683  68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