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1일 (토)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靑, 새 총리로 '非정치인·법조계' 출신 물색 중?



현역 의원 등 정치인은 배제 분위기…

'정치·사회개혁' 추진 및 청문회 통과 등이 최우선 기준 관측



청와대가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로 정치권 경험이 없는 법조계 출신 인사를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청와대 등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청와대는 앞서 이완구 전 총리가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관련 금품수수 의혹으로 사퇴한 점을 감안, 정치권의 오랜 불법 정치자금 수수관행으로부터 자유로운 동시에 각종 개혁과제 이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물을 새 총리 후보로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정치권과 언론 등에선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 경험이 있는 최경환 총리 직무대행(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나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새 총리 후보로 비중 있게 거론돼왔다.

그러나 이들 모두 현역 여당(새누리당) 국회의원으로서 내년도 총선 출마 문제가 총리 후보 지명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데다, 설령 총리로 임명되더라도 "정치인 출신 총리가 추진하는 '정치개혁'은 또 다른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우려하는 기류가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총리만 하더라도 지난 3월 대국민담화를 통해 '부정부패 척결'을 주장하고 나서자, 곧바로 정치권에선 이전 정부 인사 등을 겨냥한 '기획 사정(司政)' 논란이 일었었다. 이 전 총리는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지낸 여권 내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인사다.

이에 대해 여권 핵심 관계자는 "정치·사회개혁, 인사청문회 통과 등을 최우선 기준으로 총리 후보군을 추려내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대통령이 숙고해서 판단하겠지만, 정치인보다는 법조인 출신 인사가 총리 후보로 지명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성완종 리스트' 파문 이후 "정치·사회개혁"의 중요성을 부쩍 강조해온 사실 역시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주재한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앞으로 우린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정치에서 부정부패와 정·경 유착의 고리를 끊고, 과거의 낡은 정치를 국민이 원하는 정치로 바꿔가야 한다"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사건(성완종 리스트)을 과거부터 지속돼온 부정과 비리, 부패를 척결하는 정치개혁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었다.

게다가 박 대통령은 그동안 있었던 다섯 차례의 총리 후보자 인선과정에서도 상대적으로 법조계 출신 인사(정홍원 전 총리, 김용준·안대희 전 총리 후보자)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총리 후보군 하마평에 이름을 올린 법조계 출신 인사로는 이명재 대통령 민정특보와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그리고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조무제 전 대법관,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 등이 있다. 현직 각료 중에선 황찬현 감사원장과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이에 해당한다.

여권 관계자는 "총리 부재시엔 부총리 등이 그 직무를 대행토록 하고 있지만, 그 시간이 길어질수록 힘에 부칠 수밖에 없다"며 "각종 현안에 대한 당·정·청 간 의견조율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인선작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다"면서 여전히 총리 후보자 인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내비쳤다. 하마평에 오른 일부 인사들의 경우 총리직 제의를 이미 고사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682  683  68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