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13일 (목)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송영완 총영사 이임 인터뷰 “시애틀 동포사회는 미국 베스트”

재임기간 교육개선ㆍ자체 청사 부지 매입이 큰 보람


한국문화주간 1년 늦게 시작한 것 아쉬워
 
 
지난 2011 3월 부임한 뒤 만 3년 임기를 마치고 조만간 귀국하는 송영완 시애틀총영사(사진)가 시애틀 동포사회를 베스트라고 치켜세우며 작별 인사를 고했다.

송 총영사는 4일 시애틀N과 이임 인터뷰를 갖고 지난 3년간 좋은 사람보다 일 욕심 많은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겠다는 자세로 최선을 다했다면서 막상 떠나려니 시원 30%, ‘섭섭 70% 정도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 태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언어학과를 나와 외무고시(14)를 통해 공직생활을 시작한 송 총영사는31년 만에 처음으로 공관장 발령을 받고 시애틀총영사관에 부임했다

총영사 발령이 시애틀과의 첫 인연은 아니다. 송 총영사는 친형인 송영균 아주대 국제대학원장이 1980년대 8년간 시애틀에 머물며 워싱턴대학(UW)에서 박사 학위를 따고 박사 후 과정을 한 인연으로 당시 두 차례 시애틀을 방문했다고 한다

그는 35년이 다 돼가는 외교 공무원 생활 가운데 상당 기간을 국제기구와 북한 문제 등을 다뤄와 이 분야의 전문가로 통한다.

송 총영사는  국제기구 등 큰 데서 일을 많이 해왔는데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총영사를 맡아 일을 하다 보니 이상과 현실의 차이도 상당히 많았다고 토로했다.

동포를 보호한다는 것과 대한민국을 알린다는 두 외교원칙에 충실하려고 노력했다는 송 총영사는 워싱턴주 등 서북미 주류사회의 한국에 대한 인식이 너무 빈약한 점이 의문으로 남아있고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서북미지역의 미국인들이 중요시 하는 아시아 국가는 중국과 일본이며 캐나다에 이어 독일ㆍ영국 등 유럽 국가로 넘어간 뒤 한참 뒤 한국과 대만 정도를 꼽는다고 설명했다.

송 총영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한인사회 행사를6월에 집중 개최한 한국 문화주간도 한국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알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부임 직후 준비를 했더라면 한국문화주간1년 먼저 개최할 수 있었을 텐데 그렇게 못한 것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운전면허증을 워싱턴ㆍ오리건ㆍ아이다호 주와 상호 인정하도록 협정을 체결하는 등 총영사급 외교로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 송 총영사는 자신이 재임기간 추진한 업무 가운데교육문제가 가장 보람 있었다고 밝혔다.

서북미 각급 한글학교에 지급하는 본국정부 지원금이 원칙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배되도록 체계화했고, 타코마 및 페더럴웨이 교육구와는 한국어를 제2외국어 학점으로 인정하는 결정을 받아냈다. 또한 세종학당을 추진하고 한국어능력시험인TOPIK이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보람 있고 흐뭇하다고 송 총영사는 설명했다. 일부 논란은 있었지만 총영사관 부지 구입을 마무리한 것도 나름대로 보람이 있다고 덧붙였다.

송 총영사는 부임 후 욕심 나는 건물을 하나 찾았는데 주차장이 없어 고민하다가 결국 포기해 안타까웠다면서 총영사관 부지 구입을 지난해 말 종결했는데 이는 자체 총영사관 마련 사업의 10% 정도에 불과하고 나머지 90%는 후임 총영사가 맡을 부분이라고 말했다.

송 총영사는 자신의 취미가 골프와 스키였다는 것도 처음으로 밝혔다. 그는 5년 전부터 몸에 이상이 와서 골프와 스키를 그만뒀다면서 여행도 좋아하는데 업무 때문에 많이 못 다닌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와인 마니아이기도 한 그는 워싱턴주산 와인에 대해서도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캘리포니아산 와인의 경우 브랜드 값이 있어 상대적으로 비싸고, 실제로도 미국산 중에서는 최고인 만큼 가격을 따지지 않을 만큼 여유가 있다면 캘리포니아산을 마시는 것이 좋지만 통상적으로 20달러 미만의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라면 워싱턴주산이 최고라고 송 영사는 귀띔했다.  

외교 공무원들은 부임지를 떠나면 후임자가 재임하는 동안에는 방문하지 않은 것이 관례라며 한 3년 정도 지나고 정년퇴임을 하면 꼭 시애틀을 다시 찾겠다고 말했다.

송 총영사는 개인적으로 보면 미국에서는 시애틀과 샌프란시스코 동포사회가 베스트이고, 시애틀은 살기에도 최고 좋은 도시라며 나중에 배낭을 메고 찾아와 2주 정도 머물며 오리건주의 크레이트 레이크 등 구석구석을 둘러보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에는 다양한 의견이 있고, 또 의견이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쉽지 않은 이민생활이지만 동포들이 똘똘 뭉쳐 주류사회에 파워를 과시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분류
Total 5,572
List
<<  <  493  494  49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