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 대기자 1천명인데…오미크론 확진자 무조건 시설치료 논란

당국 "오미크론 특성 확인 전까지 병원이나 생치센터"

재택치료 원칙서 이들만 예외…폭증 대비 빨리 새 원칙 정해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에 대해서 입원 요인 없는 확진자는 재택치료를 기본으로 한다는 원칙이 변칙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현재까지는 무조건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로 보내지는 데 병상대기자가 1000명 가까운 상황에서 형평성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높아지는 병상 가동률을 낮추기 위해 지난달 26일부터 모든 확진자는 입원 요인이 있을 경우가 아니면 재택치료를 의무화했다. 

기존에는 입원요인 없는 70세 미만의 무증상·경증 확진자 가운데 동의한 사람에게만 재택치료를 했지만 입원요인이 있거나 감염에 취약한 주거환경인 경우, 그리고 보호자 없는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위험군 제외 모든 확진자가 재택치료를 받아야 한다. 동거인과 보호자도 함께 격리된다. 

5일 0시 기준 전국의 재택치료 대상자는 1만4944명을 기록했다. 재택치료하며 하루 이상 병상이 나길 기다린 대기자는 977명이나 된다. 수도권에서 1일 이상 배정을 기다리는 대기자는 총 954명이나 된다. 경증이나 무증상이라 해도 이들 가운데 많은 수는 고령자이거나 기저질환자다.

하지만 40대 부부인 국내 오미크론 1~2번째 환자는 오미크론 감염이 확인된 1일 전담병원에 입원했다. 다른 오미크론 환자들도 변이 확인 판정 당일 또는 다음 날 입원이나 입소했다. 이들을 포함해 오미크론 환자 대부분은 무증상이거나 경증이다. 건강상태가 양호하다는 애기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일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특성이 확인되는 데는 시간이 소요돼서 관찰이나 관리 그리고 전염력에 대한 통제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확진자들은) 생활치료센터나 병원 중심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정보들이 확인되면 이후 지침에 대해서는 별도로 보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당국이 확진자를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에 입소시키며 차단에 힘쓰고 있지만 이 변이 확진자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최초로 이 변이가 확인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경우 11월 초 200~300명대에 불과했던 확진자는 11월 말에는 수천명대로 뛰었다. 그러다가 이달 4일은 1만6366명으로 폭증했다.

당국도 오미크론 변이가 이미 지역사회에 퍼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를 진행중이다. 만약 이미 오미크론이 퍼져있다면 이미 5000명을 넘은 우리나라는 순식간에 확진자가 수만명이 될 수 있다. 

아직 오미크론의 특성이 파악되지 않았고 이 변이 확진자 수도 많지 않은 현재로선 시설 치료가 가능하고 필요성도 이해되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기하급수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했을 경우에 대비해 규정을 하루빨리 정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정부는 재택치료가 선진국들도 하고 있다며 어쩔수 없어도 갈 길이라며 원칙을 강화했다. 하지만 재택 치료 중 상태가 나빠져도 병상이 없어 옮기지 못하거나 이송 시스템이 원할하지 못해 사망한 이전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이의 부작용을 완전히 막지는 못하고 있다. '너무 위험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에도 강행했는데, 그 형평성 마저도 문제가 있다면 국민의 박탈감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