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2.0 시대…"거대한 비둘기에서 매로 돌변할 위험"
- 21-11-23
WSJ "美 인플레 3% 넘게 이어지면 '여우' 파월 등판"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롬 파월(68) 의장이 앞으로 4년 더 미국의 통화정책을 관할한다. 파월 의장은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위기에 능수능란하게 대처했다는 점에서 후한 평가를 받는다.
이제 두번째 임기를 앞둔 그가 차분한 목소리 이면에 날카로운 매의 발톱과 교활한 여우의 본색을 드러낼 것이라는 전망도 상당하다. 파월 의장은 지난 4년 동안 거의 물가 상승압박이 전무한 상황에서 완전고용에 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둘기로 상징되는 느슨한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시장을 달랬다.
하지만 팬데믹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미 경제는 31년 만에 가장 강력한 물가 압박에 놓였다. 치솟는 물가상승 압박은 이제 막 팬데믹 침체에서 탈출하고 있는 경제를 끌어 내릴 수 있다. 결국 고용을 희생하는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파월 의장이 거대한 비둘기에서 매(통화긴축)로 돌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월가 변호사 출신 파월…트럼프-팬데믹 거치며 소통력 키워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되면, 파월 의장이 경기 침체와 정치적 역풍 위험을 감수하고 비둘기에서 매로 변해야 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망했다.
파월 의장이 물론 타고난 통화정책 혁명가는 아니었다. 프린스턴대 정치학 학사 학위에 조지타운 로스쿨을 다닌 월가 변호사 출신이다. 조지 H.W. 부시 행정부 시절 재무부 차관보와 차관을 지냈지만, 이후 거의 20년 동안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2011년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연준 이사로 발탁했다. 이후 2018년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그를 연준 의장직에 앉혔다.
최근에는 민주당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이 금융규제 완화를 이유로 파월 의장을 "위험한 남자"(dangerous man)라고 불렀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팬데믹 직후 전격적으로 제로금리와 대규모 양적완화를 통해 민첩하게 대응하며 두번째 임기의 밑거름을 마련했다.
하버드대의 제레미 스타인 경제학 교수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 "(팬데믹이 터졌던) 2020년 3월 연준이 최고였다"며 "파월이 일종의 '드라기 순간'을 누렸다"고 말했다. 드라기 순간이란 마리오 드라기 현 이탈리아 총리가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시절 유럽의 채무위기 당시 "무슨 수를 써서라도(whatever it takes)" 유로를 지키겠다고 발언을 통해 강력한 정책대응을 펼친 시기를 상징한다.
◇"인플레 압박에 조기 긴축시 만성침체 위험"
하지만 첫번째 임기와 달리 지금은 인플레이션 압박이 막대하다. 물론 내년 인플레이션이 다소 완만해질 수 있겠지만 어느 수준까지 내려갈지가 관건이라고 WSJ는 지적했다.
인플레이션이 3% 넘게 이어진다면 파월 의장은 자신의 발언대로 하나의 원칙을 고수하는 '고슴도치'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목표를 추구하는 '여우'처럼 행동할 것이라고 WSJ는 예상했다.
그러나 파월의 여우 전략에는 수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준이 인플레 압박에 금리를 예상보다 빨리 올리면 저금리에 날아 올랐던 주식과 부동산 시장에 급격한 매도세가 휘몰아칠 수 있다.
또, 국채수익률(금리)이 오르면 가격이 내려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적자가 치솟을 위험도 있다. 더 큰 문제는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실업이 양상되면 결국 팬데믹 이전의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의 만성 침체의 늪에 빠질 수 있다고 WSJ는 경고했다.
FT 역시 앞으로 4년 동안 파월 의장이 심각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준이 원하는 수준의 '포용적' 완전고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은 불편할 정도로 높아져 있다고 FT는 지적했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심해져 결국 조기 금리인상을 단행할 지경에 이르면 파월 의장이 첫번째 임기 동안 쌓은 정치적 자본의 대부분을 소진해야 할 수 있다고 FT는 경고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축시-오정방] 부활 復活
- 올해 두번째 오리건순회영사 성황리에 마무리
-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UW세미나 큰 관심 끌었다
- 시애틀한인회, 8월2일 15개국 참여하는 ‘미니 월드컵’개최
- 페더럴웨이 한인여성, 한인들 상대로 70만달러 사기쳐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19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19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19일 토요산행
- 코너스톤 무료 페더럴웨이 클리닉 이전했다
- 린우드 베다니교회 여름성경학교 연다
- 한국학교 서북미협의회 학력어휘경시대회 성황리에 열려(수상자명단)
- 시애틀영사관 김선희선거관 한인사회 첫 인사 “24일까지 유권자등록을”
- 광역시애틀한인회 방송팀에 칭찬과 큰 박수 쏟아져
- 광역시애틀한인회 방송팀에 칭찬과 큰 박수 쏟아져
- “미주 한인이민 120년 역사, 만화로 나왔다”
- 시애틀 한인업체, 주류사회 큰 행사 준비 맡고 최고 후원자로(+영상,화보)
- 시애틀한식당 포함해 요식업체 들쑥날쑥 관세발표로 혼란가중
- 시애틀통합한국학교 말하기대회 대상에 박서준 학생
- 한국 대선위해 김선희 선거관 시애틀영사관 파견됐다
- 롯데호텔 시애틀, 시애틀 사운더스와 파트너십…스포츠마케팅 강화
- 이정후 오늘 홈런 2방에 이틀연속 홈런 3개 쏘아올려
시애틀 뉴스
- 시애틀다운타은 치즈케이크팩토리서 화재…사쿠라콘 행사 일시 중단
- 시애틀 아파트면적 미 대도시중 가장 작다
- 내일 마운트 레이이너 등 국립공원 무료개방
- 시택공항서 “뚱뚱하다며 차별당했다” 1인 시위
- 워싱턴주 업주들 “트럼프 관세전쟁 때문에 못 살겠다”
- 알래스카 주지사 "LNG 프로젝트, 한미동맹 더 공고히 할 것"
- 시애틀 과속차량 단속카메라 늘어난다
- 시택공항서 "리얼 ID 신청 서두르세요" 홍보펼쳐
- 트럼프 “불체자 자진 출국하면 항공권·재입국 지원하겠다”
- 워싱턴주 여성 2명, 270명 신분도용해 62만달러 갈취
- 보잉, 트럼프 대신 中에 두들겨맞아…"관세로 제조업 부흥한다더니"
- 시애틀시 무허가 심야업소 단속한다
- 트럼프, 中보복관세에 "위대한 농부들 보호할 것…버텨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