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변이 진화해 항체 무력화하는 듯…"백신 접종 서둘러야"

영국에서 빠르게 확산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표본에서 항체의 저항을 회피할 수 있는 변이 작용이 확인됐다고 영국 공중보건부가 밝혔다.

CNN은 2일(현지시간) "이 변이(E484K)는 이미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브라질에서 유행 중인 신종 변이들과도 유전적 특성이 일부 같았다"며 영국 공중보건부 발표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앞서 남아공발 변이의 경우 인체에서 자연 생성된 항체와 항체약물을 무력화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실험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변이는 기존 영국발 변이(B.1.1.7) 11개 표본에서 새로 검출됐는데, 어딘가에서 출현한 변이가 감염을 통해 확산했다기보다는 바이러스가 진화해 자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영국발 변이를 포함해 신종 변이는 이미 감염력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발견된 항체 저항 변이는 백신의 면역작용까지 무력화할 위험이 크고, 이미 감염된 환자의 재감염 위험도 높아진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조셉 파우버 예일보건대 감염병 연구원은 "미국에서도 변이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백신 효과에 결코 좋은 소식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CNN은 변이 확산을 막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의 발언 등을 인용해 "방역지침을 준수하고 신속한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1억437만6035명, 누적 사망자 수는 116만2004명이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