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팔겠다는 사람이 집사겠다는 사람보다 3배 많다”

미국 주택시장 ‘바이어 시작으로 역전현상’ 본격화


팬데믹 시기 과열됐던 미국 주택시장이 급격한 전환 국면에 들어섰다. 일부 지역에선 매물 쏟아지며 '사는 사람보다 파는 사람이 3배 많은' 수급 역전 현상까지 나타났다.

시애틀에 본사를 둔 부동산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 4월 한 달간 미국 전역에서 매물로 나온 주택 수는 구매 수요보다 50만 채가 더 많았다. 이는 2013년 이후 최대 공급 초과 현상이다.

가장 두드러진 지역은 마이애미로, 집을 팔겠다는 사람이 사겠다는 사람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애틀랜타, 오스틴, 피닉스, 탬파 등 남부 도시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포착됐다.

전문가들은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며, 매도자들은 가격을 낮춰야만 거래가 가능한 상황”이라며 “당분간 가격 하락 압력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팬데믹 이후 급등했던 집값도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ICE(인터콘티넨털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5월 미국 집값은 전년 대비 1.4% 상승에 그쳤다. 이는 4월(2%)보다 둔화된 수치다. 100대 도시 중 24곳은 집값이 전년 대비 하락했다. 하락 지역은 대부분 팬데믹 기간 과열됐던 선벨트(Sunbelt) 지역에 집중됐다.

레드핀의 첸 자오 연구책임자는 “미국 집값은 여전히 너무 높아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며 “기존 집주인들도 더 이상 매도를 미룰 수 없어 시장에 나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급증한 매물은 직장 이동, 자녀 출산, 이사 등 불가피한 사유로 집을 팔아야 하는 ‘필요 기반’ 매도자들이 대거 시장에 진입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현재 미국 평균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6.5%를 넘고 있어 신규 구매자들에겐 여전히 부담이다. 업계는 “수요 회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지역별로는 추가 가격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