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대 연구팀 “백신 접종자도 코로나 전파 가능”

“백신 접종해도 점막보호 IgA 항체는 안생겨”

“감염 후 회복된 사람은 백신 맞지 말아야”


코로나 백신을 맞은 사람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타인에게 전파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더힐은 31일 “하와이대 미셸 카본 박사 연구팀이 최신 논문에서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인체의 각종 점막 표면을 보호하는 항체가 생성되지 않아 바이러스의 전파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 백신 접종자의 95%가 IgG(면역글로불린-G)라는 항체를 인체에 생성하게 되는데, 이 항체는 인체를 순환하면서 코로나바이러스가 대량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문제는 코로나 항체 중 점막을 보호하는 IgA(면역글로불린-A) 항체는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생성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항체는 코, 인두, 장 등 인체의 점막 표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지금까지 임상시험이 이뤄진 코로나백신은 모두 IgG 항체만 생성시킬 뿐 IgA 항체는 만들어내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 통용되는 코로나 백신을 맞더라도 여전히 바이러스가 구강, 비강, 인두 등의 점막 증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논문은 지적했다.

이 논문은 특히 코로나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의 경우 백신 접종자보다 코로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코로나19에 이미 감염됐던 사람은 IgA와 IgG 항체가 모두 생성돼 재감염이 매우 드물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코로나감염 후 회복된 사람은 백신을 접종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