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테슬라 사이버트럭 4억달러 구매 계획' 논란되자 보류

미 대사관 사용 목적…언론 보도 뒤 목록서 '테슬라' 삭제

머스크 "4억달러 못 받을 것이라 확신" 해명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테슬라의 전기 픽업트럭인 '사이버트럭' 구매에 약 4억달러(약 5772억원)를 지불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히면서 이해 상충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13일(현지시간) 2025년 조달 전망에는 '테슬라 강철 전기 차량'이라는 항목이 포함됐다.

강철 전기 차량이 사이버트럭을 의미하는지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NYT는 고강도 스테인리스 차체를 가진 사이버트럭이 가장 적합한 차량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서에 따르면 강철 전기 차량은 미국 대사관에서 사용할 것으로, 국무부는 향후 5년 동안 4억달러어치를 구매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무부의 사이버트럭 구매 계획이 현지 언론에서 보도되자 해당 목록에서는 '테슬라'가 빠지고 '강철 전기 차량'이라고만 표기됐다.

국무부 대변인은 "국무부를 위한 강철 전기 차량을 생산하기 위해 테슬라나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와 정부 계약이 체결된 적은 없다"며 "자금 조달은 보류됐으며 현재 이것을 이행할 계획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테슬라는 실제 입찰에 앞서 관심을 끌기 위해 공개한 메시지에 응답한 유일한 기업일 뿐, 문서에서 언급된 것은 실수라고 덧붙였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해당 사실을 부인했다. 머스크는 엑스(X·구 트위터)에 "테슬라가 4억달러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적어도 나한테 아무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글을 남겼다.

트럼프 행정부가 머스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그가 수장으로 있는 테슬라와 수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이행한다면 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NYT는 정부가 사이버트럭을 구매한다면 미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서 불필요한 지출을 근절하려는 머스크의 노력과 상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머스크는 이미 정부와 계약을 체결한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민간 우주기업인 스페이스X를 포함한 머스크의 기업들은 미국 정부와의 계약을 통해 130억달러(약 18조 7551억원)를 확보한 상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