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새보다 2천년 빠른 진짜 새의 조상"…중국서 화석 발견

1억5천만년 전 쥐라기화석서 '바미노르니스 젱헨시스' 찾아

"짧은 꼬리뼈 갖고 있어 하늘 나는 데 유리"…네이처 수록

 

중국 남부에서 발견된 쥐라기 지층에서 새의 시조로 알려진 시조새 화석보다 더 오래된 화석이 발견됐다. 새의 기원이 약 2000만년 앞당겨질 수 있는 이 화석이 과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14일 글로벌타임스 등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 과학원 연구팀은 2023년 11월 중국 남부 푸젠성에 있는 약 1억 5000만년 전 쥐라기 지층에서 조류로 보이는 화석 '바미노르니스 젱헨시스'(Baminornis zhenghensis)를 발견했다. 그 후 1년간 복원 및 분석이 이뤄져 과학자들은 이 화석이 새의 시조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간 새의 기원은 약 1억 3000만년 전인 백악기에 등장했던 '시조새'(Archeopteryx)라고 알려져 왔다. 시조새는 공룡과 새의 특징을 모두 가진 동물로 시조새 화석은 1861년 독일의 한 채석장에서 발견됐다. 시조새는 깃털을 가진 최초의 육상 동물로 알려졌고, 날개뿐 아니라 이빨과 긴 꼬리를 갖고 있었다.

이번에 발견된 쥐라기 화석의 동물은 대략 메추라기 크기였고 가슴과 골반의 해부학적 구조가 현대의 새와 유사했다. 특히 꼬리 부분의 뼈가 짧아 현대의 조류와 같았다. 중국 과학자들은 이 짧은 꼬리가 무게중심을 앞으로 전환해 보다 공기역학적으로 만들어 이 동물이 하늘을 나는 데 유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의 추정이 맞다면 새의 조상은 약 2000만년 앞당겨진다. 이 발견을 포함해 최근 연구들은 시조새의 경우는 조류보다는 공룡인 데이노니코사우르스(낫 모양의 발톱을 가진 공룡의 일종)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 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3일 국제적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에 수록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