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美관세 오래 못갈 것…극적 타결 가능성 배제 못해"

美소매업계 "트럼프에게 인플레이션 인하 기대…관세 부과는 정반대"

캐나다 "관세 부과 발효되지 않기를 바라…대화할 준비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차별 관세 부과로 무역전쟁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관세가 부과되기 전 당사국 간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오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2일(현지시간) 공개된 메모에서 "이틀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의) 관세가 발효될 것으로 보이지만 마지막 순간 타협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또 "백악관이 관세 철폐를 위한 조건을 매우 포괄적으로 설정한 만큼 이번 (관세 부과) 조치가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전망은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홈디포, 타깃, 월그린스 등 200개 이상의 업체들이 가입된 미국 소매업리더협회(RILA)도 성명을 통해 미국, 중국, 캐나다, 멕시코 간 관세 부과가 실제로 일어나지 않기를 바랐다.

RILA는 "트럼프 대통령이 합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광범위한 관세 부과는 미국 경제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4개국 정상들은 2월 4일 이전에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국민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경제를 성장시키고 인플레이션을 낮출 것을 기대하고 있다"며 "광범위한 관세 부과는 이러한 기대를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과 캐나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고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맞불을 놓고 있다.

다만 캐나다는 여전히 미국과의 무역 협정 체결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커스틴 힐만 주미 캐나다 대사는 이날 A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화요일에 (관세 부과가) 발효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캐나다 정부는 미국과 계속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