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한국 노인들" 10명 중 4명 '빈곤'…여성이 남성보다 심각

노인빈곤율 5년 하락 후 2년째 상승…2023년 38.2%

여성이 남성보다 10% 이상 높아…소득불평등도 다른 연령층보다 높아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이 2년 연속 상승해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노인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38.2%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38.1%) 대비 0.1%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노인빈곤율은 2020년 38.9%로 처음 30%대로 내려온 뒤 2021년 37.6%까지 하락했으나, 2022년 38.1%로 반등한 이후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가처분소득은 자유롭게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개인소득에서 세금 등을 제외하고 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합친 것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소득수준이 중위소득의 50%(상대 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이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전체 상대적 빈곤율(14.9%)이나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빈곤율(9.8%)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성별로 보면 여성(43.2%)이 남성(31.8%)보다 빈곤율이 높았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국제 비교에서도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압도적으로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눈에 보는 연금 2023'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 66세 이상 노인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평균(14.2%)의 약 3배였다. OECD 국가 중 노인빈곤율이 40%를 넘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고령층일수록 빈곤율은 더 심각했다. 66~75세 노인의 소득 빈곤율은 31.4%였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절반 이상이 빈곤층으로 분류됐다.

소득 불평등 수준도 다른 연령층보다 심각하다.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전체 인구(0.331)보다 높았다. OECD 평균(0.306)과 비교해도 격차가 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