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최측근 "北과 협상 위해서라면 한미연합훈련 중단 고려할 만"

"훈련 중요하지만 北과 선의의 협상 가능하다면 일시 중단 해롭지 않아"

"북한군 러시아 파병도 주요 쟁점으로 삼을 가능성 높아…北에 이익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AFPI) 연구소 부소장이 "북한과 협상 재개하기 위해서라면 한미연합훈련 중단도 고려해 볼 만하다"는 취지로 발언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개인적 의견임을 전제한 후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직전 트럼프 행정부 시절 이 문제는 매우 논란이 됐다"며 "몇몇 사람들은 1990년대 이후 협의된 (미국의 걸프전 참전으로 한미연합 훈련의) 틀이 깨진 상황에서, 이 훈련의 중단이 북한과의 협상 타결 가능성을 높였던 것으로 판단하기도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는 이런 훈련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북한과 선의의 협상을 할 가능성이 있다면, 협상 과정에서 훈련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도 해롭지 않다고 본다"며 "과거 사례가 있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했다.

그가 언급한 과거 사례는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화해의 제스처로 한미연합훈련 중단한 것을 의미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과 다시 접촉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플라이츠 부소장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문제 역시 주요 협상 쟁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가 북한을 이용하고 있고, 북한이 젊은 군인들을 이 먼 땅으로 보내는 결정을 재고하길 바란다"며 "이 전쟁은 북한에게 아무런 이익이 없다" "미국은 러시아와의 대화 또는 북한과의 논의에서 이 문제를 주요 쟁점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이 북하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으로 지칭한 것에 대해서는 "미국은 연전히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정책을 고수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정의된 핵보유국이 아니다"라고 정의했다. 단, 자신이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4년 전과 비교해 대북 협상이 더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의 대화에 진지하게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 특사로 신뢰받는 조언자 중 한 명인 리처드 그레넬이 임명된 점을 들어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하고 싶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플라이츠 부소장은 2기 트럼프 정권인수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2기 행정부 입성이 유력한 인물로 꼽힌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