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실직하면 6개월도 못 버텨"…사회안전망 부족

직장인 18.2%, 올해 의지와 무관한 실직 경험

비정규직, 임금 150만원 미만일수록 실직 경험↑

 

올해 직장인 10명 중 2명은 의지와 무관하게 실직을 경험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직장인의 절반은 갑작스러운 실직을 경험할 경우 6개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답변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일부터 11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직 및 실직 전망' 설문조사(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포인트)를 진행했다.

설문 결과 지난 1월 이후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실직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은 18.2%였다. 지난해 12월 같은 조사 결과와 비교해 5.9%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비정규직의 실직 경험은 27.8%로 정규직 실직 경험(11.8%)의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비사무직(24.8%), 임금수준 150만원 미만(24.3%), 20대(22.2%) 등 집단에서 실직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25년 실직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은 39.1%를 차지했다. 비정규직의 경우 절반 이상인 52%가 실직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그 외 비사무직(47.2%), 5인 미만 사업장(43%), 임금수준 150만원 미만(49.2%), 50대 이상(42.2%) 등 집단에서 실직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의 50.7%는 갑작스럽게 실직할 경우 재정난 없이 버틸 수 있는 기간이 6개월 미만이라고 답했다. 3~5개월이 31.7%로 가장 많았고, 1~2개월도 19%를 차지했다. 버틸 수 있는 기간이 6개월 미만이라는 응답은 비정규직(59.1%), 5인 미만 사업장(59.4%), 비사무직(57.4%)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응답자의 63.9%는 한국에서 원하지 않는 실직을 당했을 때 사회보장제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해당 응답은 지난해(51.4%)와 비교해 12.5%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보장제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50대 이상 직장인의 경우 75.7%가 이같이 응답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24.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김준규 직장갑질119 활동가는 "해고는 가족관계, 사회관계에서의 고립을 초래하는 사건으로 개인 차원의 대비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며 "실업 사태 대비를 위한 사회보장적 대책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