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들 성탄절 원하는 선물 1위는?
- 24-12-09
렌딩트리 설문조사서 49%가 현금 가장 선호해
선물 지출금, 평균 100불~499불…빚 내서라도 준비?
연말 부담감 증가…31%는 포기, 이유는 ‘비용 부담’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많은 사람들이 트리와 장식을 꺼내며 가족과 친구들에게 어떤 선물을 준비할지 고민하고 있다.
온라인대출 플랫폼 랜딩트리(LendingTree)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선물을 주고받는 사람들 중 49%가 이번 연말연시에 현금을 선물로 받고 싶다고 답했다. 특히, 18세 미만 자녀를 둔 부모(61%), Z세대(58%), 밀레니얼 세대(57%)의 응답이 높았다.
또한, 39%는 자신이 받은 선물을 같은 가치의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다면 교환하겠다고 답했다. 현금을 선물로 받았을 때 용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27%는 청구서 납부에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또 다른 27%는 자신을 위한 물건을 구입한다고 답했다.
한편, 18%는 저축, 11%는 타인을 위한 선물 구입, 9%는 부채 상환, 4%는 투자에 현금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용 부담 불구 여전히 선물에 진심인 미국인들
선물을 준비하는 사람들 중 47%는 선물 구입에 100달러에서 499달러 사이를 지출할 계획이며, 23%는 500달러에서 999달러를 지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할 대상으로는 자녀(42%)가 1위를 차지했으며, 배우자 또는 연인(19%), 부모 또는 보호자(9%), 형제자매(9%), 친구(8%) 등이 뒤를 이었다.
선물 비용 부담으로 빚 증가
연말연시 선물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69%의 미국인이 올해 선물을 주고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특히 베이비붐 세대(6078세)가 77%, 18세 이상 자녀를 둔 사람들(77%), 연소득 5만달러에서 9만9999달러를 버는 사람들이 75%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응답자 중 37%는 선물을 준비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Z세대(59%)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압박감의 주요 원인으로는 가족(15%)이 가장 많았고, 친구(10%)와 가족 및 친구 모두(13%)순이었다.
또한 홀리데이 선물로 인해 빚을 진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63%는 이를 후회한다고 답했는데 X세대(44~59세) 응답자가 71%로 가장 높았다.
일부는 선물 주고받기 포기
미국인 전체의 31%는 올해 선물 주고받기를 아예 포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응답자 중 Z세대(39%), 연소득 3만달러미만(37%), 자녀가 없는 사람들(36%)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선물을 포기하는 주요 이유로는 비용 부담(52%)이 가장 많았으며, 29%는 선물을 주고받지 않기로 상호 합의했다고 답했다. 22%는 홀리데이를 기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선물 주는 사람들의 55%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전통적인 선물 문화(시크릿 산타, 엘프 온 더 셸프 등)를 생략하거나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물 주고받기는 스트레스?
응답자의 26%는 선물 주고받기가 스트레스를 유발한다고 답했으며, 특히 Z세대(36%)와 18세 미만 자녀를 둔 사람들(32%)의 스트레스가 가장 컸다. 과거 연말연시 소비로 빚을 진 적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47%에 달했으며, 이 비율은 18세 미만 자녀를 둔 응답자(62%), 밀레니얼 세대(55%), Z세대(55%)에서 높았다.
반면, 응답자의 33%는 선물 주고받기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중요해졌다고 답했으며, 38%는 그 중요성이 변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또한 별도의 조사에서 42%는 홀리데이 비용 절감을 위해 기존에 받은 선물을 다시 주는 ‘리기프팅(regifting)’을 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랜딩트리가 질문 프로(QuestionPro)와 협력하여 2024년 10월 14일부터 15일까지 18세에서 78세 사이의 소비자 2,0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기사제공=애틀랜타K(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시택시도 ‘1월13일 한인의 날’로 선포
- “시애틀과 벨뷰 통합한국학교 등록하세요”
- 올해 ‘한인의 날’ 큰 성과 속에 진행됐다(+화보)
- 시애틀ㆍ벨뷰통합한국학교 발전기금모금행사 연다
- 용인대태권도 시범단 시애틀서 시범공연 펼친다
- 페더럴웨이에 한국어 이중언어프로그램 신설된다
- 대한부인회 한인소상공인 비지니스 활성화 교육나서
- 워싱턴주 첫 한인 장례회사 문 열었다
- 박형준 부산시장 시애틀찾아 MS 등 2개기업과 산업육성 등 협약
- 워싱턴주 밴쿠버한인장로교회 임직예배 드려
- 시애틀영사관 미시민권자 일반행정직원 채용한다
- <속보>H마트 강도 한인 여성 “허리뼈 부러지고 5,000달러 금품 빼앗겨”
- [시애틀 수필-이윤홍] 녹두전-미식의 즐거움
- [신앙칼럼-최인근 목사] 새 마음이 새해입니다!
- 시애틀지역 한인 벨뷰 H마트 주차장서 강도 당해-허리 부러지는 중상
- <속보>피살된 한인버스기사 추모식에 1,000여명 참여
- <속보>ICE, 시애틀 도피한 한국 전세사기 부부 추방사진 공개
- 한인회 서북미연합회, 가천대 길병원과 MOU체결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월 10일~1월 13일, 1월 16일)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11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11일 토요산행
시애틀 뉴스
- 타코마 JBLM 의사가 환자들 팬티 벗겨 논란
- '제프 베이조스 발사체' 뉴글렌, 16일에 다시 발사 시도
- 워싱턴주 첫 한인 장례회사 문 열었다
- 워싱턴주 렌트인상 7% 상한선 추진하고 나서
- 제이 인슬리 워싱턴주지사 12년 공과를 따져보니?
- 보잉 애틀랜타서도 사고…"엔진 불 붙었다" 208명 비상대피
- '성적부진' 매리너스 전 감독, 샌디에고로 옮겨
- 워싱턴주 물가 비싸도 가족부양하기 좋은 편이다
- 베이조스 재사용 발사체 '뉴글렌' 발사 취소…"하부시스템 문제 발견"
- 올해 오리건 근해서 해저화산 분출한다
- 퍼거슨 워싱턴주지사 당선자 "나는 부자세 신설 반대한다"
- 시애틀 본사 둔 스포츠의류 에디 바워, 이젠 JC페니 백화점 식구된다
- 시애틀 운전자들 체증으로 63시간 허비, 미국서 10번째 체증심해
뉴스포커스
- 尹 변호인단, 중앙지법에 체포적부심사 청구…"영장 무효"
- 관저 들어간 박충권 "일부 의원 폭행 당한 듯…권영진 옷 찢어졌다"
- 尹 체포 날, 내란 국조…與 "공수처, 나라 시끄럽게" 野 "영장 불법인가"
- 尹 야간조사 7시 재개…호칭은 '대통령님' 저녁메뉴 '된장찌개'
- 이재명 재판부, 새 사건 배당 중지…국힘 "희망 생겨"
- "尹 체포는 불법" 고발 나선 국힘…민주 "특검법 내일 처리"
- 이기흥 전 체육회장, IOC 위원 자격도 반납…2월 말 임기 종료
- 검찰, '햄버거집 모의' 계엄 비선 김용군 전 대령 구속 기소
- "100년 역사 학교도 못 피했다" 전북 29개교 올해 신입생 '0명'
- 법원, '강경파' 김성훈 경호차장 체포영장 발부
- '尹 탄핵심판' 첫 변론 4분 만에 끝…재판관 기피신청 기각
- 콘크리트 둔덕이 사고 키웠나…박상우 국토장관 "개연성 높아"
- '경호처 배속' 55경비단, 공조본에 尹 관저 출입 허가
- 내란 국조특위, 윤 대통령 22일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
- 尹측 "'제3의장소 조사' 상의 안해…경호처, 경찰 체포 가능"
- '尹 탄핵심판' 첫 변론 4분 만에 끝…재판관 기피신청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