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가디언 "K팝과 독재자, 한국의 양면 드러나"
- 24-12-09
"오징어게임2 공개 앞두고 진짜 현실이 디스토피아 돼"
"세계 청중들, 한국의 일면 실시간으로 목격 중"
영국의 유력 일간 가디언이 각종 문화적 영향력으로 국제적 명성을 획득한 한국과 비상 계엄이 선포된 한국을 비교하며 양면성을 조명했다.
가디언은 6일(현지시간) 'K-팝과 독재자들: 민주주의에 대한 충격으로 한국의 양면이 드러났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가디언은 먼저 보이그룹 방탄소년단(BTS)과 오징어게임 등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한국의 문화 콘텐츠를 언급했다. 이들은 "소프트파워 패권을 두고 일어난 글로벌 전쟁에서 최근 몇년 간 확실한 승자는 한국"이라며 "BTS를 필두로한 한 한류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나라를 거대한 문화적 기업으로 변모시켰다"고 묘사했다.
이어 "그러나 불과 며칠 전,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드라마인 오징어게임 시즌2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던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자 진짜 현실에 디스토피아가 개입됐다"고 꼬집었다.
가디언은 현 사태에 대해 "K-팝의 긍정적 분위기에 더 익숙한 세계 청중들은 인식하지 못했던 한국의 일면을 실시간으로 목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나이든 시민들에게는 군부 독재자가 나라를 통치하고 민주주의 운동가들이 총을 맞아 죽던 시대의 트라우마를 불러일으키는 일"이라고 표현하며 한국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제가 북한보다도 나빴던 한국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한국은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경제 대국이 됐다"며 "자동차 제조와 가전제품 분야에서 유명한 생산국이자 5100만명이 초고속 인터넷으로 연결돼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급속한 경제적, 문화적 성취에도 한국은 여전히 뿌리 깊은 권위주의와 씨름하고 있다"며 "이는 전통적인 계층구조와 네트워크에 활성화되고 증폭된다"고 지적했다.
가디언의 날선 비판은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앞두고 나왔다. 국민의힘은 7일 표결 직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 표결에서 반대하기로 당론을 확정한 상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타코마한인회 한인의 밤에 초대합니다"
- 한인주도 유소년축구단, 무료 축구클리닉 연다
- 미국내 팁 금액 감소 추세…식당 평균은 18.8%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월 17일~1월 20일, 1월 23일)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18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18일 토요산행
- [부고] 오레곤한인회 우혜영 이사 부친상
- “한인 여러분, 세금보고와 은퇴준비 노하우 알려줘요”
- 광역시애틀한인회 그랜트 8만달러 받아…한인 위한 콘텐츠 및 온라인 서비스
- 유아영ㆍ조수경ㆍ안젤라 김씨 등 수상 영광
- 린우드 한식당 아리랑2.0, 주중 아침식사 메뉴 개시
- 시애틀영사관, 오리건 유진과 포틀랜드서 순회영사
- 타코마 서미사 “템플스테이에 참여하세요”
- 김하성 시애틀 매리너스로 오나?
- 워싱턴주 부동산경영인협회 새 회장에 신승수씨
- 시택시도 ‘1월13일 한인의 날’로 선포
- “시애틀과 벨뷰 통합한국학교 등록하세요”
- 올해 ‘한인의 날’ 큰 성과 속에 진행됐다(+화보)
- 시애틀ㆍ벨뷰통합한국학교 발전기금모금행사 연다
- 용인대태권도 시범단 시애틀서 시범공연 펼친다
- 페더럴웨이에 한국어 이중언어프로그램 신설된다
시애틀 뉴스
- 인슬리 워싱턴주지사 퇴임직전 살인범에 사면령
- 빌 게이츠 "2주 전 트럼프와 3시간 만찬…보건에 대한 관심에 감명받아"
- 시애틀 유명 인기 ‘버거매스터’ 본점 문 닫는다
- 시애틀 프로농구 전설 윌리엄스 별세
- 새끼 두번 잃은 범고래가 안보인다
- MS 'M365' 요금제에 '코파일럿 AI' 포함…12년 만에 구독료 인상
- <속보>환자들 성희롱한 타코마군부대 의사 징역 13년8개월형
- 워싱턴주내 아마존 물류창고서 큰 폭행사건 벌어져
- 오늘 ‘체스 챔피언’이 워싱턴주지사 됐다
- '최악'보잉 지난해 인도량 35% 급감했다
- 타코마 JBLM 의사가 환자들 팬티 벗겨 논란
- '제프 베이조스 발사체' 뉴글렌, 16일에 다시 발사 시도
- 워싱턴주 첫 한인 장례회사 문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