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피했지만 조기대선 불가피…대통령 법적 권한 뺏을 방법 없어

계엄 선포 이후 바닥친 지지율에 민심 이반 국정 운영 동력 잃어

책임 총리 실현 모델 없고…표결 불참으로 야당 협조 얻기 어려워

 

윤석열 대통령은 국회 탄핵소추안 부결로 헌정사상 두 번째 탄핵 대통령이라는 오명은 겨우 피했지만 국가 기능 마비는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계엄 선포 이후 10% 초반까지 떨어진 지지율과 야당의 내란죄 주장, 친윤계를 중심으로 한 여당내 반발, 싸늘한 민심 속 정상적인 국정 수행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

윤 대통령은 탄핵을 피한 만큼 헌법에서 보장한 △행정부의 최고 지휘·감독권 △법령집행권 △국군통수권 △공무원 임면권 등 행정부 수반으로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이미 내각은 총사퇴 입장을 밝혔고, 대통령 비서실장을 포함한 참모진들도 사의를 표명한 상태다.

내각은 윤 대통령에게 반기를 들었고, 대통령 최측근은 실망감을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군마저 2차 계엄 선포 시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등 국군통수권자로서 위엄마저 상실했다.

이에 당분간 국정 마비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도 이날 오전 대국민 담화를 통해 임기 등 향후 국정운영은 당에 일임한다고 하는 등 사실상 2선 퇴진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 대통령을 대신해 사실상 직무 대행한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헌법상 최종 결정권은 윤 대통령에게 있는 만큼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여권 내부에서는 책임총리제 또는 거국중립내각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이들 방안 모두 법에 규정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국군통수권 이양 등 헌법상 불가능한 문제도 있어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특히 여야가 윤 대통령 탄핵을 두고 극명한 시각차이를 보인 만큼 여야간 합의 가능성도 희박하다는 게 중론이다.

정치권에서는 국정운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조기 대선밖에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당의 추가 탄핵소추안 발의와 민심 이반 등 지속되면 내치뿐 아니라 외치마저도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통화에서 "탄핵이 절대 좋은 것은 아니지만 현재 상황은 탄핵을 안 하고 넘어가지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