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우주선, 6시간 만에 지구 도착…우주비행사들은 내년에
- 24-09-08
당초 임무 8일, 기체 결함 발생하며 지구 귀환 계속 미뤄져
우주비행사 2인, 내년 2월 '스페이스X' 우주캡슐로 지구행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약 3개월 만에 분리된 미국 보잉사의 우주캡슐 '스타라이너'가 무사히 지구에 도착했다.
6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AFP 통신 등에 따르면 스타라이너는 이날 미 동부시간으로 오후 6시 4분, ISS와의 도킹을 해제하고 지구로의 비행을 시작했다.
이후 7일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7일 오후 1시 1분)쯤 미 뉴멕시코주 사막의 화이트 샌즈 스페이스 하버에 착륙했다. 우주에서 출발한 지 6시간 만이다.
스타라이너는 대기권에 진입한 뒤 낙하산을 펼쳐 하강 속도를 늦췄다. 이후 에어백을 부풀려 연착륙했다.
올해 6월 스타라이너는 미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61), 수니타 윌리엄스(58·여)를 태우고 우주로 향한 바 있다.
당초 두 사람은 8일간 체류 예정이었으나 스타라이너에서 예상치 못한 추진기 오작동, 헬륨 누출 등 여러 기체 결함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두 사람의 지구 귀환은 계속해서 미뤄져왔다.
나사는 결국 스타라이너는 무인 귀환시키고, 두 사람은 2025년 2월 일론 머스크가 수장으로 있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우주캡슐 '드래곤'을 이용해 데려오기로 했다.
이로써 스타라이너는 유인 시험비행 과제에 있어 '실패'라는 성적표를 받아들게 됐다.
로이터는 "스타라이너가 6월 6일 도킹에 성공했지만 결함으로 인해 1억 2500만 달러(약 1674억 원)의 비용이 발생, 2016년 이후 스타라이너 프로그램의 총 비용은 16억 달러(약 2조 1430억 원)를 약간 상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성대하게 열려
- [신앙칼럼-최인근 목사] 희생 없는 미래는 없다
- 시애틀총영사관, 인기 크리에이터 ‘챔보’와 협업영상 만들어
- <속보> 연기됐던 SNU포럼 21일에 열린다
- 한인생활상담소 영유아발달 무료 워크숍 개최한다
-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창립 20주년 행사 연다
- [기고-윤여춘] 시애틀 등산로 들머리의 한국정원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6월 13일~6월 19일)
- 시애틀지역 한인미술 꿈나무들 올해 미대 입시서 두각 나타내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14일 토요 정기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14일 토요산행
- 대한부인회, 간병인고용 현장인터뷰로 하루 56명 선발(영상)
- 한인 올림퍼스스파 '수술전 트랜스젠더 여탕 허용'판결에 불복해 대볍원 상고한다
- 시애틀한인중고생 위한 SAT Prep 공부방 운영된다
- 시애틀영사관 출신 윤찬식 파라과이 대사, 한국 언론과 인터뷰
- 재미한국학교 서북미협의회 종합시상식 잘 마쳤다
- 시애틀통합한국학교 신나는 종업식 및 장날 행사열려(화보)
- "한국 많이 찾아주세요" 시애틀서 한국관광 홍보 설명회 열려(+화보)
- 케이 김 워싱턴주 한인여성부동산협회 전 회장 홀인원
- 재미한국학교 윤세진 회장, 조승주 이사장 오리건서 학예경연대회 시상식(+화보)
- 유니뱅크 이번 주말 린우드지역 한인들에게 종이파쇄서비스
시애틀 뉴스
- "미국에 왕은 없다"…트럼프 생일날, 美 2000여곳서 '노 킹스' 反트럼프 시위
- <긴급> 시택공항 ‘보안 문제’로 긴급 이착륙 금지 조치
- 워싱턴주 애플헬스 170만명 정보, 연방 이민당국에 넘겨졌다
- 이번 주말 시애틀지역 교통지옥-405 북행차선 피해야
- 스타벅스 “전세계 여행하며 13만달러 받을 사람 찾아요”
- 중국계 UW교수, 연방백신자문위원회에서 전격 해임됐다
- 시애틀서도 반이민단속 시위 충돌 빚어져...8명 체포돼
- 시애틀, 신규주택 인허가 간소화 추진… 디자인 심사 대폭 축소
- 시애틀 렌트인상 담합 막는다
- “이 스티커 하나면 비행기 수하물 먼저 찾는다”
- 보잉 "항공기 및 부품 무관세 보장해야"…상무부에 의견서
- 공군 KF-16, 알래스카서 훈련 중 파손…조종사 2명 무사
- 시애틀 총각들 장가가기 힘들다-시애틀 미국서 최고 '남초도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