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등지기 전 97% 신호 보내지만…10명 중 2명만 알아챘다

2015~2023년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분석 결과

 

자살사망자의 약 97%가 사망 전 경고 신호를 보냈으나 이를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약 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2015~2023년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에 따르면 9년간 자살사망자 1099명과 유족 1262명으로부터 얻은 심리부검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경우 96.6%가 사망 전 경고 신호를 보낸 것으로 조사됐다.

심리부검이란 자살사망자의 가족 또는 지인의 진술, 고인의 기록 등을 검토해 자살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방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살사망자가 사망 전 신호를 보낸 것과는 달리 가족, 지인 등 주변에서 이러한 신호를 인지한 경우는 23.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를 보낸 시기별로 나누어 보면 사망 한 달 이내에는 감정상태 변화(19.1%)와 주변 정리(14%) 신호를 보냈으며, 사망 1년 전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경고신호는 수면상태 변화(26.2%)와 자살에 대한 언급(24.1%)이었다.

또 1인 가구의 자살사망 특성을 살펴보면 청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43.8%로 다인 가구 청년기 비율(2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사망장소는 자택이 69%로 다인 가구(53.2%)보다 높았으며, 다인 가구가 가족(52.1%)에 의한 최초발견이 높았던 것과 달리 1인 가구는 가족(25.6%), 경찰 및 소방(25.1%), 지인(24.6%)에 의해 발견됐다.

또한 1인 가구의 비정규직 비율(43.7%)은 다인 가구(29.7%)보다 높았으며, 지속적 빈곤으로 인한 스트레스 비율(15.3%)도 다인 가구(8.7%)보다 높았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경우 98.9%는 사별 후 심리·행동(97.6%), 대인관계(62.9%), 신체건강(56.5%), 가족관계(52.2%) 등의 변화를 경험했다.

또 심한 우울(20.0%), 임상적 불면증(33.1%), 복합비탄(37.8%), 자살사고(56.3%)와 같은 정신건강 관련 문제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는데, 이는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며 "심리부검을 통해 파악한 자살위험 요인을 향후 자살예방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2023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는 보건복지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누리집에 게시되며,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센터)에 배포할 예정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