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둔 美 정치계…'이더리움 현물 ETF' 상황 급반전 이유 보니

이더리움 잡던 SEC의 반전에 현물 ETF 승인 가능성↑

대선 앞두고 압박받는 행정부·SEC…코인 산업 대하는 태도 급변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연내 승인 가능성이 갑작스레 상승한 가운데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서는 바이든 행정부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이 이더리움 현물 ETF의 승인 가능성을 25%에서 75%로 끌어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 하루 만에 뒤바뀐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가능성…"정치적 압박이 배경"

22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전일 오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더리움 현물 ETF의 신청 거래소와 자산운용사에 19b-4(거래규칙변경 관련 신고서)를 수정 및 재제출하라고 통보했다.

이에 이더리움의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은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기준 25%에서 75%까지 급등했다.

 

해당 소식이 나오기 전까지는 미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도 이더리움 현물 ETF의 승인 가능성을 30~40%로 예상하는 등 업계 내 부정적 평이 주를 이뤘다. 

결국 미 SEC의 19b-4의 수정 및 재제출 통보가 연내 승인 가능성 급등 주요 배경이 된 셈이다. 업계에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를 비롯한 정치계로부터 압박을 받으면서 SEC가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고 있다. 

김민승 코빗리서치센터장은 SEC의 19b-4 재제출 통보 건과 관련해 "지금까지 무대응으로 일관하던 SEC가 진도를 나갔다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최근 (가상자산과 관련해) 미 의회에 발의된 여러 법안들과 표결상황 등을 보면 바이든 행정부와 SEC가 많은 (정치적) 압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대표적으로) HR 4763을 비롯해 최근 가상자산 수탁의무 회계지침(SAB 121)을 무효화하는 공동 결의안인 HJ.Res. 109가 찬성 60표, 반대 38표로 상원을 통과했다"고 전했다.

 

◇ 가상자산 산업 정치계 분위기 달라져…"CFTC 끌어들이고 규제는 멀리"

김 센터장이 짚은 SAB 121은 사실상 업계에서 미 금융 기업의 가상자산 보유를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고 평가받는 법안이다.

SAB 121은 은행이 고객 보유 가상자산을 대차대조표에 부채로 기록해야 한다는 SEC의 지침을 골자로 하는데, 미 공화당 측은 해당 법안을 두고 '기업들이 가상자산을 보유하는 데 큰 비용이 든다'며 '불필요한 위험을 끌어들여 시장을 비효율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결국 지난 17일 해당 법안을 무효화하는 결의안이 상원을 통과했다. 미 정치계도 대선을 앞두고 소위 '가상자산 업계의 투심'을 신경 쓰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16일에는 제미니, 서클, 코인베이스, 크라켄 등 가상자산 업계를 대표하는 가상자산 관련 기업 60여 곳은 미 국회의원들에게 지난해 7월 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서 통과된 HR4763 법안을 지지한다는 결의안을 제출하며 법안 통과를 촉구하기도 했다.

'21세기 금융 혁신법'이라 불리는 해당 법안은 가상자산을 포함한 디지털자산의 규제와 관련해 기존 SEC뿐만 아니라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도 일부 공동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예로 미 의회 공식 홈페이지 속 해당 법안의 소개 내용 안에는 디지털자산의 채굴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동 연구나 가상자산 회사에 대한 수수료 구조 확립 등을 SEC와 CFTC가 공동으로 진행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해당 법안에 대한 표결은 오는 23일(현지시간) 미 의회에서 투표가 진행될 예정인데, 업계에서는 해당 법안이 통과된다면 적어도 이더리움에 한해서는 증권이 아닌 상품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한다.

혹여 해당 법안이 이더리움 현물 ETF에 대한 SEC의 승인 판단 전 결론이 나올 경우,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 11월 대선 앞둔 바이든 행정부와 민주당…결국엔 유권자 표심 고려한 행보

최근 미 정치계에서 이전과 다르게 대선을 앞두고 공화당뿐만 아니라 민주당에서도 가상자산 산업의 규제를 두고 친화적인 행보를 펼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최근 글로벌 설문조사 기관 해리스폴이 진행한 서베이에서 미국 유권자의 73%는 대선 후보들이 가상자산 등 혁신 기술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40%는 향후 투자 포트폴리오에 가상자산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또 최근 미 가상자산 벤처캐피털(VC) 디지털커런시그룹(DCG)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유권자 20%는 미 대선의 주요 이슈 중 하나로 가상자산을 꼽았다.

에릭 발추나스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도 DL뉴스를 통해 "관건은 대선"이라며 "만약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SEC 리더십은 교체될 것이고 새 위원장은 게리 겐슬러보다 가상자산에 우호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즉 대선을 앞두고 다수의 유권자들이 가상자산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 아래에서 대선을 앞둔 민주당 측에서도 이 같은 수요를 고려하고 있는 모양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