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강한 미국 경제…인플레 반등과 금리인하 후퇴 위험

WSJ "문제는 금리 인하 시점이 아니라 인하폭"

 

너무 강력한 미국 경제가 인플레이션 반등과 금리인하 후퇴 위험을 높이고 있다. 지난달 신규 고용이 예상의 2배에 달하면서 3월 금리인하는 사실상 물 건너 갔고 거의 확정적이던 5월마저 불확실해졌다.

11일(현지시간) CME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선물시장이 예상하는 미국의 3월 금리인하 확률은 16%에 불과하다. 5월 확률도 2주 전 90%에서 60% 수준으로 내려왔다.

문제는 추세 이상의 성장이 지속되면 인플레이션 반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메리프라이즈의 러셀 프라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에 "임금상승세가 유지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높아질 수 있다는 여러 징후가 있다"고 말했다.  

또 금리가 현재 수준에서 더 오래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성장률이 높아지면 국채 수익률이 상승할 수 있다. 채권 수익률이 높아지면 주식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고, 금리가 높아지면 경제의 자본 비용이 높아진다.

결국 3월 인하전망을 고수했던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바클레이즈를 포함한 세계 유수의 투자은행들도 백기 투항하고 고금리가 좀 더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을 새로 잡고 있다.

일례로 BoA는 최근 투자메모에서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 답변에서 3월 금리인하를 두 번이나 배제했고 이는 우리가 받아 들여야할 신호"라고 적었다. BoA는 첫 금리인하 시점을 기존의 3월에서 6월로 미뤘다.

하지만 이른바 테일러 준칙에 따르면 미국의 기준 금리는 지금보다 낮아져야 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 인플레이션은 하락하는 데 너무 높은 금리가 지속되면지나치게 경기를 제약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테일러 준칙이란 성장률과 물가 변수를 적용해 산출한 적정금리를 비교적 엄격하게 따라야 하는데 이러한 준칙에 따라 연준 금리는 올해 4분기에 더 낮아져야 한다. 연준은 올해 금리가 0.75%포인트 인하될 것으로 예상한다.

테일러 준칙에 따른 전망모델은 금리 인하를 처방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에 아무 문제가 없더라도 금리를 인하해도 괜찮으며 이전보다 더 큰 폭으로 인하할 수 있다고 알려준다는 점이라고 WSJ는 설명했다. 궁극적으로 금리 인하가 3월에 시작되느냐 5월에 시작되느냐보다 얼마나 금리인하 폭이 커지느냐가 더 중요할 수 있다고 WSJ는 지적했다.

미국의 생산성이 깜짝 향상하면서 인플레이션 없는 성장이 가능해졌고 이는 경기를 제약하는 수준의 금리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상기했다.

미국 근로자의 생산성은 지난 3개 분기 연속 3% 웃돌아 2010~2019년 평균 1%를 큰 폭으로 앞질렀다.

생산성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자원을 투입하여 많은 양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어 제품에 투입된 자원의 원가는 그만큼 낮아진다. 생산성이 좋아지면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출 뿐 아니라 임금 상승의 여지를 더 많이 남길 수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