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수필-서로빈] 새해를 켜는 날

서로빈(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회원)

 

새해를 켜는 날

 

오후 4시 30분에 이렇게 어둡다니. 하늘과 해와 달이 원망스러웠다. 콜로라도 북부 포트 콜린스에서 이민의 삶을 시작한 지 석 달째, 처음 겨울 시간으로 바뀌던 날이었다. 그 생경한 감각은 십 년 넘도록 닳지 않고 11월 첫 일요일마다 찾아온다. 고도가 높아 해가 빨리 지던 콜로라도를 떠나며 긴긴 겨울밤과도 안녕인 줄 알았다. 웬걸, 워싱턴은 위도가 높아서 겨울만 되면 또 해가 일찌감치 떨어진다.

지독한 불면증으로 밤새 어둠과 싸우다 매번 졌던 예닐곱 살 무렵, 어둠을 무서워하게 됐다. 일주일 내내 자도 모자랄 만큼 잠이 많아진 중고등학생 시절에도 어두운 건 여전히 싫었다. 어른이 되어서도, 불 안 끄고 자면 건강에 치명적이란 이야기를 듣기 전까지 작은 불빛을 꼭 남겨 놓고 잠자리에 들었다. 불을 끈 탓은 아니겠지만, 그 이후로 불면증은 날 잊지 않고 이따금 내 잠을 깨우러 온다.

잠을 못 이룰 땐 처음엔 잠이 오기만을 기다리지만, 결국엔 아침이 오기만을 기다리게 된다. 포트 콜린스에서 처음 몇 해 동안, 겨울이 심해보다 깊고 어두워질 땐 그저 묵묵히 잠행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새해를 맞는 순간, 없던 기운이 어디선가 생겼다. 12월보다 1월이 더 춥지만, 아침저녁 점점 환해지는 것만으로 마음은 푹했다. 그래서 아침을 기다리듯 새해를 기다렸다.

언젠가부턴 해가 넘어가지 않아도, 크리스마스만 지나면 벌써 화창함을 느꼈다. 역시 처음 몇 해 동안, 할로윈,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두어 달 왁자지껄 이어지는 동절기 축제 기간엔, 평소에 들추어 보려고 하지 않던 이방인으로서의 소외감을 외면하기 힘들었다. 아무런 마음의 준비 없이 추수감사절을 처음 맞았을 때, 피리 부는 사나이가 사람들을 모두 데려가 버린 듯 휑뎅그렁한 거리 풍경이 무서웠다. 한국의 가족과 친구들은 추석과 설에는 타지에서 쓸쓸하지 않은지 안부를 물어주었지만, 할로윈이나 추수감사절엔 물어주지 않았다. 추석과 설엔 가게들이 문 닫거나 친구들이 어딘가 가버리지 않아서 쓸쓸하지 않았다. 반면 할로윈에는 이제 시작이라는 긴장감에, 추수감사절엔 지금까지 버틴 만큼 더 버텨야 한다는 피로감에 고달팠다. 그러다 크리스마스에 이르면, 길고 길었던 겨울 명절이 끝난다는 설렘에 쓸쓸할 겨를도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 크리스마스 즈음엔 추수감사절보다 해가 길어진다.

겨울 해 저무는 시간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어렸을 땐 팥죽 먹는 날일 뿐이던 동지의 사전적 의미에 주목하게 됐다. 일 년 중 해가 가장 짧은 동짓날이 되면 이제 반년 동안 나날이 해가 길어질 일만 남았다는 생각에 신났다. 특히 한국, 혹은 동양에 국한된 문화인 줄 알았던 동지가 전 지구적 절기임을 알고, 내 마음속 동지의 위상이 더 높아졌다. 그렇게 마음이 밝아지는 시기가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던 시절보다 무려 사나흘 앞당겨졌다.

몇 년 동안 동지를 오매불망하며 깨달은 게, 실질적으로 저녁 해가 가장 빨리 지는 날은 12월 21일, 동지보다 훨씬 이르다는 사실이다. 알고 보니, 12월 21일은 겨우내 낮 없이 밤만 계속되는 북극에서 조금 아래, 북위 67.4도를 기준으로 해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이다. 좀 더 내려와 북위 65도에서는 12월 18-19일, 북위 60도에서는 12월 15-16일에 해가 가장 빨리 저문다. 즉, 위도가 낮아질수록 ‘그날’이 일러지는 것이다. 내가 사는 커클랜드는 북위 47.7도에 자리 잡았고, 이곳과 나의 그날은 12월 10-11일이다.

가을이 시작되면 12월 10일에 마음속 깃발을 꽂고 그날을 향해 나아간다. 이제 더는 폭죽이 터지고 종이 울리는 공식적인 새해를 기다리지 않는다. 대신 날이 밝아지고 해가 길어지는 순간을 세심히 포착해서 나만의 새해를 맞을 준비를 한다. 이윽고 12월 10일이 오면, 스위치를 올려 새해를 켠다. 새해의 불빛을 마음에 들인다. 그리고 달력을 바꿔 건다.

태양력 2024년은 이제야 막을 올리지만, 내 시간의 장은 이미 넘겨졌고 나는 전력을 다해 달리는 중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