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EU는 '디스인플레', 韓은 전망치 줄상향…"고금리 길어진다"

KDI·IMF 등 국내외 기관, 韓 물가 전망 줄줄이 높여…6년여 만에 美 물가 역전

IMF "韓 물가 둔화하겠지만 고금리 상당 기간 유지해야"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3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향후 물가 전망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이는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최근 물가 둔화세가 나타나는 모습과는 대조적인데, 우리나라의 긴축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는 신호로도 읽힌다.

21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7일 '2023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6%와 2.4%로 각각 제시했다. 이는 지난달 전망보다 각 0.2%포인트(p), 0.1%p 상향한 수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9일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을 이전보다 0.1%p씩 상향한 3.6%, 2.6%로 제시한 바 있다. 한국은행도 이달 경제전망에서 물가 전망을 기존(올해 3.5%, 내년 2.4%)보다 높일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 경제기관들이 우리나라 물가 전망을 줄상향하는 것은 10월 나타난 물가 수치가 기존 예상을 상회하며 반등했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지속 둔화해 지난 7월 2.3%까지 떨어졌지만 8월(3.4%)과 9월(3.7%) 반등했다. 한은과 정부는 10월이면 물가가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고 내다봤지만, 막상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8%로 9월보다도 0.1%p 오름 폭이 커졌다.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예상보다 견고했던 영향이 컸다.  

우리나라 물가 상황은 최근 미국과 영국, EU 등 주요국이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에 접어들기 시작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를 기록하며 9월 대비 0.5%p 낮아졌다. 근원물가 역시 4%로, 2021년 9월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이로써 우리나라 물가가 미국을 역전하는 현상이 약 6년 만에 일어났다.  

영국도 9~10월 사이 물가 상승률이 6.7%에서 4.6%로 2%p 이상 하락했고,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역시 4.3%에서 2.9%로 둔화했다.

우리나라 물가 상승 둔화가 더딘 것은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경제 특성상 국제유가의 국내 반영 시기가 2~3주 뒤로 밀리는 데다가, 그동안 정부가 에너지 가격 인상에 따른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늦춰 왔기 때문이다. 주요국과 비교해 고물가 고통의 강도는 낮았지만 그만큼 더 오래 지속되는 셈이다.

이는 주요국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긴축 기조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주요국에선 물가가 안정되며 기준금리 인하가 논의되기 시작했다"며 "우리의 경우 물가를 인위적으로 억누른 것이 되레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다보니 금리 인하 시점이 늦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IMF는 보고서에서 "한국 물가는 당국의 목표 수준으로 (상승률이) 꾸준히 하락할 전망"이라고 했다.

다만 "국제 에너지 가격 등의 불안으로 물가 상승률 목표치에 수렴하는 것이 지연될 수 있다"며 "물가 안정을 위해 현재의 고금리 기조를 상당 기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