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전약후] '파스타' 어원 같은 통증 해결사 '파스'…1959년 국내 첫선

부직포에 '진통제' 성분 붙여 피부 흡수…만병통치약 오인도

멘톨 성분 함유 시원한 느낌…'소형화·맞춤형' 무한 변신 중


"파스 하나 주세요."

어깨 결림, 허리 통증 등 가정에서 가장 많이 찾는 소염·진통 성분 '파스'는 국내 현지화된 대표적인 의약품(일반의약품·의약외품)으로 꼽힌다. 파스라는 용어 자체가 해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이른바 '콩글리시'다.

사실 파스라는 용어는 독일어 '파스타'(Pasta)에서 왔다. 원어는 '붙인다'의 뜻이다. 이탈리안 '파스타' 역시 이 독일어에서 파생된 '반죽'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파스와 파스타 모두 같은 뿌리를 두고 있다.

이처럼 '붙이는 약물'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는 파스가 국내에 들어온 것은 6.25 전쟁 직후인 1959년부터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에서 대부분의 의약품이 들어오면서 해외에서 '패치'(Patch) 또는 '플라스타'(Plaster)라고 부르는 명칭이 파스로 정착했다.

1959년 당시 대한민국은 6.25 전쟁 후유증으로 모든 것이 부족한 시기였고 도시 재건을 위해 육체 노동이 많았다. 고된 노동은 잦은 근육통을 유발했지만, 값비싼 일본산 파스는 쉽게 사용하기 어려웠다.

국산 파스는 이러한 국민적 염원에 의해 탄생했다. 국내 최초의 파스를 선보인 이영수 신신제약 창업주는 1959년 회사 창립 시 질 좋고 값싼 파스 생산을 목표로 회사를 설립했다.

일본 제품의 품질이 좋다는 인식도 존재했지만, 1960년대 국내 산업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국산 제품 사용이 증가했다. 밀려드는 주문에 파스에 사용되는 면사가 부족해 생산공장 직원들이 입고 있는 와이셔츠를 벗어 제품을 만든 일화까지 있을 정도다.

파스는 피부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는 원리를 갖는 만큼 근육 통증을 완화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통증 억제 효과가 있는 '살리실산,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피록시캄'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에 '멘톨' 성분을 함유해 화끈거리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전달한다. 약이 부족하던 시절 파스를 만병통치약으로 착각해 손상된 피부 부위에 붙이는 일도 많았지만, 이는 잘못된 사용 사례다.

이처럼 오랜기간 소비자들이 애용한 파스는 계속해서 변신을 모색하고 있다. 단순히 네모난 직포를 피부에 붙이는 방식에서부터 바르는 형태의 액상형, 크림형, 스프레이 형태로 변화했다.

최근에는 관절염 등 부위나 특정 부위에서 불편감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동전 모양 또는 테이프 형태 등으로 소형화하는 추세다. 온·냉 찜질이 필요한 경우에 따른 맞춤형 제품도 있다.

피부에 붙이는 제형 특성은 다른 치료 분야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꾸준한 약물 복용이 필요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등에서는 이 파스를 활용한 붙이는 형태의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등도 나오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