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직장에서 피해야 할 말 10가지
- 23-01-07
CNBC ‘책임 피하고, 냉정하고, 꾸짖는 말 하지 말라”
새해를 맞아 좋은 직장 분위기를 만들고 싶다면 꼭 피해야 할 문구가 있다.
경제 매체인 CNBC는 4일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대화 대신 냉정하고 책망하는 어휘를 사용하는 직장 상사나 동료가 많다”면서 “동료들의 안전과 가치를 인식하는 대화법을 배워야 좋은 직장 분위기가 조성된다”고 충고했다.
다음은 직장에서 사용하면 안되는 ‘독’이 되는 대화 10가지이다.
1.” 우리는 언제나 이렇게 해왔어(We’ve always done it this way)”
변화나 제안을 거부하는 대표적인 말투이다. 동기 부여나 창조적인 활동을 전면적으로 방해하는 말투이니 대신 “이런 식으로 해왔지만 변화할 때가 됐는지 함께 알아보자”고 말하는 것이 좋다.
2. “내가 일할 때는 지금보다 더 어려웠어(Back in my day, we had it worse)”
문제를 제가하는 사람의 입을 막는 가장 편한 ‘라떼는’ 식의 반응이다. 대신 “더 좋은 환경을 만들려면 무엇을 바꾸면 좋을까”라고 묻는 것이 좋다.
3,. “우리 봉급 정보는 비밀로 하는 게 좋아(It’s best to keep our salary information private)”
봉급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은 직원들의 수행능력을 저하시킨다. 또한 투명하지 않는 조직이라는 인상을 주게 된다. 대신 “봉급에 대해 열린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이 좋다.
4. “경험이 많은 그 사람이 이 일을 해야 해(We went with [X person] because they have more experience)”
경험이 잠재력이나 동기에 비해 높이 평가받을 때 불리한 입장에서 출발한 소수계 직원들에게는 차별로 느껴진다. 대신 “강력한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그 사람을 선택한거야”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5. “우리는 임기가 없습니다(We don’t have term limits)”
고위직의 현재 상황과 직책을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침으로서 도전 동기와 의지를 꺾는 발언이다. 대신 “모든 사람에게 기회를 주는 것을 중요시 한다. 리더십이 바뀌어야 개인이나 조직이 성장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좋다.
6. “그 사건을 이메일로 기록할 수 있을까?(Can you document that incident in an email?)”
문제가 된 사건을 비밀이나 익명으로 하지 않고 기록함으로써 보복을 할 수도 있다는 인상을 주는 말이다. 대신 “당신을 보호할 수 있는 문구를 생각하고, 문제의 본질에 집중하자”고 말하는 것이 좋다.
7. “그 사람은 그런 뜻으로 얘기한게 아냐([X person] didn’t mean what they said)”
문제가 있는 직원을 보고하는 사람에게 “당신의 불만은 알겠지만 나는 그래도 그 사람을 보호하겠다”고 말하는 것이다. 대신 “그런 정보블 알려줘서 고맙다. 당신을 지원하고 그 사람의 행동을 살펴보도록 하겠다”고 말하는 것이 좋다.
8. “나는 몸이 좋지 않지만 오늘을 이겨낼 거야(I’m not feeling too well. But I’ll try to power through the day)”
고통을 참고 일한다는 것을 은근히 자랑함으로써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비난하는 속뜻을 담고 있다. 대신 “오늘은 조금 천천히 일해야 겠어”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9. “우리 둘 사이의 비밀로 하자. 나는 절대 말 안할거야(Keep this between us, as it’s not my news to share)”
노골적으로 사생활고 신뢰를 훼손하는 말이다. 다른 사람의 가십을 들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상대방에게 전가하기 위한 술책이기도 하다. 대신 “나는 이 문제를 비밀로 하고 해당되는 사람에게 직접 알아보겠다”고 말하는 것이 좋다.
10. “그걸 오늘 밤에 나한테 보내주겠어?(Can you send it to me tonight?)”
마감시간은 중요하지만 일과 시간이 아닌 때 업무를 강요하는 것 처럼 들린다. 대신 “오늘 일은 끝났으니까 내일 보내주겠나”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기사제공=애틀랜타K(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유니뱅크 올해 첫 현금배당한다
- 전영록 데뷔 50주년 시애틀콘서트 열린다
- 시애틀서 국기원 태권도 품세세미나 열렸다
- “변경된 메디케어 제대로 알고 혜택 받으세요”
- 벨뷰통합한국학교,말하기대회도 ‘최고’였다(+화보)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말하기대회 개최
- 시애틀 한인 학생 수학경시대회서 4관왕 화제
- 줄리 강, 전국도시연맹 컨퍼런스서 연설
- U&T 파이낸셜, 한인대상 투자세미나 개최한다
- 한인 성악가 2명 타코마 오페라 주역맡았다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25일 3개 코스로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25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악회 25일 토요 산행
- 상담소 '초등부모특강'개강, 참여자 모집한다
- 시애틀 차세대들 모처럼 한자리에 모였다
- 서북미문인협회 문학세미나 연다
- “시애틀 한인학생 여러분, 수학경시대회 참가하세요”
- 시애틀 한인대상 메디케어·베네핏 설명회
- 시애틀 한인 청년들 다같이 모인다
- 생활상담소 성인장애인 프로그램 시작한다
- 코리아스타트업 시애틀센터 직원 채용
- 시애틀통합 말하기대회 대상은 김소망양
- 워싱턴주 한인여성부동산협회 세미나 인기 폭발적이었다(+동영상,화보)
- 서북미연합회, 정기이사회 열어 예산결산보고
시애틀 뉴스
- 시애틀집값 전국서 두번째로 많이 떨어졌다
- 시애틀지역 저소득층 더 먼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다
- MS 두배 빨라진 윈도용 팀즈 앱 공개
- WHO, 코로나 백신 권고 변경…고위험군만 1년에 1~2번
- 성공하는 아이의 5가지 특징을 알아보면?
- 워싱턴주 주민들 세금부담 더 많아졌다
- MS 추가해고로 시애틀지역서 현재까지 2,743명 잘랐다
- 워싱턴주 성폭행 피해자 제소시한 없앤다
- 워싱턴주 홈리스 크게 늘어나고 있다
- 모건스탠리 "아마존 주가 50% 상승 여력있다"
- 시혹스, 방출 1년만에 명수비수 바비 왜그너 데려온다
- 이맘 때쯤 캠핑하기 좋은 워싱턴주 해안 주립공원 5곳을 찾아
- 워싱턴주 대법원 "25만달러 이상 이득에 7% 세금 합법이다"
- 미국발 금융위기 스위스 이어 독일까지…다음은 어디?
- 린우드 중학교서 14살 학생 교사 폭행 중상입혀
- 자폐 앓고 있는 워싱턴주 중학생 동급생들에 폭행과 왕따 당해
뉴스포커스
- 울먹인 소아과 의사들 "간판 내리겠다" 폐과 선언…왜?
- 경찰조사 후 '광주행' 택한 전우원…전태일 열사 동생 "고생 많다"
- 방미 한달 앞두고 안보실장 전격교체…대통령실에 무슨일
- '전광훈' 발언 징계 위기 김재원 "무조건 잘못했다…빨리 사과하고 싶었지만"
- 공공분양때 아이 둘도 ‘다자녀 특공’ 이르면 상반기 공급한다
- 이재명, '대선자금 20억원' 남욱 주장에 "사실같냐…일방적 주장"
- 대통령실, 日 '왜곡' 교과서에 "주권·영토 양보할 수 없어"
- "2000원 주고 소주 사왔어요"…고물가에 소주 콜키지 프리 식당까지
- 숙박 3만원·항공권 2만원·KTX 50% 할인…휴가비 600억 쏜다
- '전두환 손자' 전우원, 경찰조사 마치고 오늘 석방…광주 향할 듯
- 도피 5년만에 체포 조현천…"'계엄문건', 檢수사서 규명되길"
- "왜 게임 못하게"…고모 살해한 중학생, 가정법원 송치 예정
- 美항모강습단장 "한미일 3국 훈련 계획"… 내주 실시할 듯
- 尹대통령, 일본 이어 중국에도 손… 연내 한중일 정상회의 열리나
- 휠라 요가매트서 발암물질 검출…"EU 기준 29배 초과"
-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 다음달로 밀렸다…"실거주의무 폐지 여부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