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택시장 침체가 인플레잡기 도움될 것"

WSJ "7차례 금리인상으로 일부 주택 지표, 금융위기 수준 침체"

"주택시장 침체만으로 물가상승률 2% 억제달성 확신은 어려워"


미국 주택시장 침체가 미국의 인플레이션 억제 노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 보도했다.

올해 들어 7차례에 걸친 연방준비제도(Fed)기준금리 인상으로 일부 지표로는 미국 주택시장이 2007∼2009년 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정도의 혹독한 침체에 빠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로 인해 연준이 기대하는 물가상승률 축소와 경제활동 위축이 향후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지난 2020년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에 따른 재택근무의 대중화, 넓은 주거 공간을 원하는 미국인들의 욕구 폭발과 제로 금리가 맞물려 초래된 비정상적인 부동산 과열이 모기지 금리의 급등으로 빠르게 식고 있다는 것이다.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가 지난 3월 4%에서 지난 가을 7% 이상으로 치솟으면서 11월 현재 미국인들이 매달 갚아야 하는 모기지 상환액이 연초 대비 43% 급등한 상태다.

집값뿐 아니라 렌트 역시 지난 2년간의 가구수 급증세가 가라앉고, 40년 만에 가장 많은 신규 아파트 공급이 이뤄진 여파로 가격 오름폭이 뚜렷하게 둔화하는 추세다. 팬데믹 기간의 1인 가구 급증이 월세와 집값을 끌어올린 이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택시장 침체는 가전, 가구, 리모델링, 이사 등 다른 연관 산업의 수요를 함께 떨어뜨리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강력한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주택시장 자체만으로도 미 소비자물가지수(CPI)의 3분의 1, 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의 6분의 1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내년 이후 물가 지표 개선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주거비용이 물가 지표에 반영되는 데 시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미 시작된 집값 하락과 렌트 상승세 둔화는 내년 물가 상승률을 큰 폭으로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다.

연준 고위 인사들이 현재 6%에 가까운 PCE 가격지수가 내년 말 3.1%로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주거비용 하락이라고 WSJ은 전했다.

다만 주택시장 침체만으로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인 2%로 낮아질 것으로 확신하기는 어렵다. 임금 상승세가 소비자들의 지출을 뒷받침해 기업들이 계속 가격을 올려 소비자들에게 전가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나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