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과 화마에 고통받는 미국…기후변화로 2050년 피해 5000조 추정

폭염과 산불 피해 곳곳서 발생…전력 공급 차질로 피해 더욱 커져

켄터키 포함 동부 지역, 폭우로 '최악 홍수'…기후 대비책 요원

 

올해 여름 미국을 강타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폭염으로 인한 사망, 정전 피해와 더불어 대규모 산불까지 발생하면서 미국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다.


이대로는 2050년까지 기후변화로 인한 미국의 피해규모가 약 5000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까지 나와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단 지적이다.


11일 미국 뉴욕타임스(NYT)‧워싱턴포스트(WP)‧CNN‧CBS 뉴스 등 현지 언론과 로이터‧AFP통신 보도를 종합하면 미국에선 올여름을 강타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피해는 매년 더욱 악화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주를 포함한 미국 서부에선 심각한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사상 최악에 이르렀다. 섭씨 45도 이상까지 치솟은 무더위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복구에만 오랜 시간과 비용이 들 전망이다.


벌써 2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극심한 가뭄은 산불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무더위로 인해 대기 중 수분이 부족해져, 발화의 위험도 그만큼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지난 7월 캘리포니아 요세미티 국립공원 인근 미드파인스 지역에서 발생한 '오크 화재' 로 인해 약 1만 2000에이커(약 1500만평)의 땅이 불에 탔고 주민 6000명이 대피, 3000여가구의 공급이 끊기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캘리포니아주 시스키유 카운티 클래미스 극유림에서 발생한 '맥키니 산불'로 인한 피해도 상당했다. 맥키니 화재는 한국 서울 여의도 면적(2.9㎢)의 77배에 달하는 224㎢(약 6676만 평) 이상의 대지를 태웠고, 이로 인해 2명 이상이 숨지고 수천명이 대피했다.


미 서부에선 매년 산불이 발생하긴 하지만, 매해 그 강도와 규모는 커지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이 같은 기후변화로 인해 미국 내 전력 수급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외신들은 더위로 인해 수백만 가정과 기업이 에어컨을 가동하면서, 캘리포니아의 전력 사용량이 지난 2017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캘리포니아주 전력 공급망을 관리하는 독립시스템운영국(ISO)은 에너지 절약을 위해 실내 온도를 25.5도 이상으로 설정하고 주요 가전제품 사용을 제한하는 한편 실내 전등을 끄도록 하는 등의 조치를 이어갔다.


◇ 폭염뿐 아니라 '최악의 홍수'로 인한 피해도 상당…비상사태 선포


"역사상 최악의, 가장 파괴적인 홍수." 지난 7월 켄터키주를 강타한 최악의 홍수에 앤디 버시어 주지사는 이렇게 평가했다. 지난 7월 켄터키를 강타한 200~300㎜의 갑작스러운 폭우로 인해 최악의 홍수가 발생, 약 40여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실종됐다. 


당시 켄터키 일대 전기 공급까지 끊기면서 1만2000명 주민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켄터키 동부엔 비상상태가 선포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주 데스밸리 국립공원에도 '1000년에 한 번 발생할' 많은 양의 비가 쏟아져 수백명이 고립되고 피해가 속출했다.


미 국립공원관리청(NPS)에 따르면 지난 8월 이 일대에 1년 강우량의 75%에 해당하는 약 1.5인치(약 40mm) 가량의 비가 3시간 만에 내리면서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 지역의 8월 평균 강우량은 0.1인치로, 이번 폭우가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데스밸리 국립공원은 북미에서 가장 덥고 건조한 지역으로, 이 같은 강우량이 상당히 드문 경우로 알려졌다.


이뿐 아니라 조지아, 앨라배마, 오하이오 주 등에도 폭우와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상당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지난달 집중호우가 발생한 조지아주엔선 허리 높이까지 물이 차올랐고, 오하이오주에선 토네이도 경보가 발령되는 등 비 피해가 심각했다. 


◇ 기후변화로 인해 심화하는 이상기후…대비책 필요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이 같은 폭염과 홍수 등 이상기후 현상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아울러 이로 인한 피해액이 2050년까지 총 3조 7000억 달러(약 500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국제 환경설팅 및 엔지니어링 기업 지에이치디(GHD)의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대로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매년 약 0.5%씩 감소할 수 있다고도 GHD는 분석했다. 


갈수록 심화하는 기후변화에 대비해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기후 대응책이 요원한 상황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변화나는 대응책에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재 조 바이든 대통령 행정부의 미국에선 기후 위기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한 사회가 부담하는 손실 규모를 의니하는 탄소의 사회적 비용(SCC, Social Cost of Carbon)'을 측정해 피해 규모를 추산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 SCC를 다르게 정권에 따라 다르게 측정하면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온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2013년 기후행동계획(Climate Action Plan)을 발표하는 등 기후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당시 SCC는 1톤당 50달러(약 6만7000원)에 달했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파리 기후변화협약에서 탈퇴하는 등 기후 위기에 부정적으로 대응했고, SCC는 1톤당 7달러(약 1만원)로 크게 하락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후협약 탈퇴를 정면 비판하며 재가입에 나섰다. 바이든 대통령은 SCC를 1톤당 51달러(약 7만원)로 계산했다.


전 정권에 비해 SCC가 7배 이상 올랐지만,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피해 규모를 작게 추정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보수적인 SCC를 더 높게 계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에선 현재 SCC 측정을 위해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와 주요 부처 14개 정부 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더욱 투명하고 과학적인 SCC 측정을 통한 기후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