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는 왜 자본시장 폭락에 항복하지 않을까?

미국 연준 등 세계 중앙은행들이 잇달아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단행함에 따라 주식, 암호화폐(가상화폐)등 자본시장이 급락하고 있다.

그러나 바닥은 아직 멀어 보인다. 2030세대들이 밈 주식(유행성 주식) 또는 암호화폐를 꽉 쥐고 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자본시장의 바닥은 투자자들의 이른바 'capitulation'(항복,투자자들이 수익에 대한 희망을 버리고 주식을 대량 매도하는 상황)이 나올 때 확인됐다.

그러나 2030세대에게서 항복 기미는 전혀 포착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두드러진다. 연준이 금리인상을 시작했을 때 대부분 전문가들은 암호화폐가 폭락해 ‘제로’로 수렴될 것이라고 봤다.

그러나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올 들어 많이 떨어졌지만 지금도 2만 달러 선을 굳건히 지키고 있다. 최근에는 상승해 20일 2만4000달러 선을 뚫기도 했다.

비트코인 최근 7거래일 가격 추이 - 코인마켓캡 갈무리


아무도 암호화폐의 지불을 보장해주지 않지만 2030세대들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것이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소년시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보며 자란 이 세대들은 이전 세대들에 비해 박탈감을 많이 느끼고, 기존의 금융질서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이들은 기존의 금융상품 대신 암호화폐 등 새로운 상품에 탐닉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기존의 금융상품으로는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믿고 위험하지만 과감한 투자를 하는 특성이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이들은 정체된 임금, 최저수준의 이자율, 치솟는 집값 때문에 부모세대가 선택한 방법으로 재테크를 하면 성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들은 오래된 규칙을 따르는 것을 지는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이 암호화폐에 열광하는 것은 암호화폐가 기존 금융 시스템의 규칙을 벗어나 작동하도록 설계돼 반체제적이라는 점이다.

35세 상인이자 런던 동부의 금융교육 운동가인 게리 스티븐슨은 “아버지는 대학을 가지 않았다. 그는 우체국에서 35년 동안 일했고, 세 아이를 키우고 모기지(주택담보대출)도 갚을 수 있었다. 그는 편안한 은퇴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지금 세대들에게 이는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우리가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한 일을 할 수 없다면 더 나은 계획을 세워야 한다. 위험을 감수한다면 적어도 기회는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최대의 도박 상담 핫라인은 “최근 전통적인 도박이나 스포츠 베팅보다 데이트레이딩에 중독된 사람들로부터 걸려오는 전화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데이트레이더들이 급증한 것이다. 최소한 데이트레이더들은 도박꾼 취급을 받지는 않는다.

스티븐슨은 “우리 아빠는 하루 종일 도박을 즐긴다고 말하면 창피하지만 우리 아빠는 하루 종일 외환거래를 한다고 말하면 사람들은 당신의 아버지를 월스트리트의 늑대라고 생각할 것이다”고 말했다.

기존의 경제 시스템에서 돈 벌 기회를 박탈당한 2030세대들이 암호화폐, 데이트레이딩 등 사실상 투기에 빠지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2030세대의 이 같은 투자 경향이 위험천만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게 이마저 없다면 희망을 박탈당하는 것과 같다고 FT는 전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