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 뒤 하루 30만' 예측 나왔는데…'9월 20만' 보고 대책 낸 정부

코로나19 수리모델링 TF 예측치…정부 정점 예측보다 10만명 가까이 많아

확보 병상은 15만명까지 대응 가능…"병상대책 등 재점검 필요" 지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가 현행보다 30% 증가하면 4주일 뒤 신규 확진자가 30만명에 이를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현행 감염재생산지수는 1.4수준이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확진자 1명이 주변에 전파하는 감염자의 규모를 뜻한다. 감염재생산지수가 1 이상이면 확산세, 1 이하는 감소세를 의미한다.

이 같은 예측은 당초 방역당국이 재유행 정점으로 예상한 15~20만명보다 훨씬 대규모다. 이에 따라 최대 20만명을 예상해 마련한 방역대책에 대해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전망이다. 

14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등이 후원하는 코로나19 수리모델링 태스크포스(TF)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감염재생산지수가 30% 증가할 경우 일일 확진자는 2주일 뒤인 7월 27일 8만1267명, 4주일 후인 8월 10일에는 288546명까지 급증할 전망이다.

감염재생산지수 증가율을 30%가 아닌 10%로 상정할 경우 일일 확진자는 2주일 뒤 5만7940명, 4주일 뒤 151014명으로 예상되고 있다. 감염재생산지수가 현행 수준을 유지할 경우 2주일 뒤 4만8410명, 4주일 뒤에는 105103명이다. 

건국대 정은옥 교수팀은 2주일 뒤 5만6489명, 4주일 뒤 132509명을 예상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은 현행 수준의 감염전파율을 토대로 4주일 뒤 신규 확진자를 8만명대로 내다봤다.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이 정점에 도달하면 하루 15~20만명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해 왔다. 질병관리청은 전날(13일)에도 재유행 대책을 발표하면서 전파율을 기준으로 정점 시기와 유행 규모를 세 가지로 예측해 제시했는데, 가장 안좋은 시나리오의 정점이 최대 20만여명에 그쳤다. 정부의 예측이 다소 느슨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질병청은 기준 시나리오인 전파율 31.5%를 가정하면 신규 확진자가 7월 말 3만명, 8월 말에는 111800명에 이어 9월 26일에는 184700명까지 올라 정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파율이 41.5%로 악화하면 신규 확진자가 8월 말 161000명, 9월 16일에는 2066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파율이 21.5%면 9월 말 155800명에 이르고 정점은 10월 10일 164700명에 달할 것으로 제시했다. 

정부가 민간연구진 예측치로 함께 제시한 유행 전망에서도 9월 중 10만명 이상, 8월 말 최대 165000명, 10월 초 최대 15만명 등으로 정점 예측이 20만명을 넘지 않았다.

하지만 현실은 심상치 않다. 14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만9196명 발생했다. 지난 4일부터 11일째 '주간 더블링'(확진자가 두 배씩 늘어나는 추세)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흐름을 고려할 때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인 4주일 뒤 하루 30만명 발생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하루에 30만명대 신규 확진자가 쏟아지면, 정부 방역대책은 재점검이 필요하다. 당국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만명 이상일 경우 일부 유행 지역부터 생활치료센터를 개소하고, 하루 20만명 이상이면 가동명령을 개시할 계획이다. 

현재 정부가 확보한 코로나19 병상은 하루 확진자 146000명까지 대응할 수 있다. 정부는 하루 확진자가 20만명으로 증가할 경우 총 1405병상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하루 30만명은 정부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것이어서, 병상과 치료제 확보가 시급해진다. 

먹는 치료제는 8일 기준 총 1062000명분을 도입했고, 그중 284000명분을 처방해 남은 양이 778000명분이다. 정부는 7월 내로 942000명분을 더 구입한다. 이렇게 되면 누적 2004000명분이 국내로 들어오게 된다. 정부는 먹는 치료제 170만명분이면 코로나19를 대응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하루 30만명일 경우 치료제가 빠르게 소진될 가능성이 높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대한 목소리도 나올 수 있다. 정부는 '전 국민 대상 거리두기 도입을 시작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라며 선을 그었다. 마지막 상황에 검토하는 수단이며, 치명률이 급등하는 등 긴급한 상황 때만 요양병원 같은 감염취약시설을 대상으로 선별적·부분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박혜경 방대본 방역지원단장은 "감염취약시설,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방역 조치를 시행하겠다는 의미"라며 "국민 전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조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전문가들은 방역 긴장감을 다시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주우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미국과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는 최근에서야 재유행을 시작했다"며 "방역 긴장감을 다시 높이고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등 기본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