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 4600만원 벌어 4500만원 빚 갚아…전체 17%는 적자 가구"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 "2052만 가구 중 354만 가구가 적자"

"적자 가구 19%는 세입자 전세금으로 적자 메울 가능성 높아"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약 17%가 '적자 가구'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노형식 연구위원은 8일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 방향' 보고서에서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우리나라 전체 2052만 가구의 17.2%인 354만 가구가 적자 가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상황 등을 분석할 때 소득을 '필수적인 소비지출'과 '이자 외 비소비지출', '금융채무에 대한 원리금 상환'에 쓰고 나면 남는 것이 없는 가구를 '적자 가구'라고 정의한다.

보고서는 이들 적자 가구의 연평균 경상소득 4600만원 가운데 4500만원이 원리금 상환액으로 나간다고 분석했다. 그 외 필수 소비지출은 2400만원, 이자 외 비소비지출은 900만원이었다. 원리금 상환액이 경상소득의 98%를 차지해 적자의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5배 이상인 '고(高) LTI 가구'는 84만가구로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1200만가구)의 7.1%에 달했다. '고 LTI'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4억원으로,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1억1000만원) 대비 4배가량 많았다. 고 LTI 가구 중 적자 가구는 52만가구로 61.5%를 차지했다.

노형식 연구위원은 "소득이 지출에 미치지 못해 빚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다면 문제"라며 "높은 LTI를 해소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적자 가구 가운데 66만가구(18.6%)는 세입자로부터 받은 전월세 보증금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을 가능성이 크며, 전셋값이 하락할 경우 세입자에게 보증금 상환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노 연구위원은 "적자이면서 전세를 놓는 가구는 2년 정도에 한 번씩 오르는 임대보증금 인상분을 수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며 "전셋값이 하락하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이 원활하지 않아 경제충격 파급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