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가 바뀐 거냐" vs "내부 변화 커"…'갤S22' 놓고 엇갈린 해외 반응
- 22-02-12
외신, '갤럭시S22' 놓고 전작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평
내부 업그레이드 요소 크다는 평가도…'노트' 계승한 '울트라'에 관심 집중
지난 10일 0시(한국시간) 공개된 갤럭시S22를 놓고 해외 반응이 엇갈렸다. '갤럭시노트'를 계승한 '갤럭시S22 울트라'에 관심이 집중된 반면, 일각에서는 전작과 비교해 크게 변화 요소가 없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겉보기와 달리 내부 변화가 크다는 반박도 나왔다.
해외 매체들은 전반적으로 갤럭시S22 울트라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1년 넘게 출시되지 않은 '갤럭시노트' 시리즈의 S펜 경험이 녹아든 제품이기 때문이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된 안드로이드 슈퍼폰이 출시됐다"며 "삼성의 최신 안드로이드폰은 갤럭시S와 노트를 스타일러스가 장착된 하나의 슈퍼폰으로 결합했다. 재활용 플라스틱, 폐어망이 부분적으로 활용된 최고급 스마트폰이 새로운 S22 라인업을 이끈다"고 보도했다.
미국 'CNN'은 "(갤럭시S22 3종 중에서) 분명한 스타는 S22 울트라다"며 "울트라 모델은 삼성 갤럭시노트 이용자들에게 다소 친숙하게 느껴질 것"이라고 짚었다.
삼성전자 모바일 관련 소식을 전하는 '샘모바일'은 새로운 플래그십 3종은 적어도 외부 디자인과 관련해선 삼성의 재탕을 보여주지만 그럼에도 세 제품은 놀랍도록 강력하고 다재다능하다"며 "S펜을 내장한 갤럭시S22울트라가 특히 그렇다"고 전했다.
미국 IT 매체 '더버지'는 "갤럭시S22 울트라는 S펜 반응 속도가 빨라졌다고 하지만 카메라 재설계 및 개선된 야간 촬영 성능을 포함해 다른 변화는 미미한 수준"이라며 "갤럭시S22와 S22 플러스 역시 삼성의 주력 플래그십 제품이지만 약간 반복적이다"고 평가했다.
해당 매체는 갤럭시S22 시리즈의 소재가 개선된 점을 높게 샀다. 후면에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전작과 달리 전·후면에 '고릴라 글라스 빅터스 플러스'를 탑재해 눈에 띄는 변화를 나타냈다는 평가다.
또 다른 미국 IT 매체 '씨넷'은 울트라 모델의 갤럭시노트와 같은 S펜 경험을 반기면서도 "다른 업그레이드 요소는 향상된 프로세서, 카메라, 화면을 포함해 반복적"이라고 평했다.
그러나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 달리 내부적인 변화가 크다는 평가도 나왔다. 미 IT 매체 '엔가젯'은 "새로 발표된 갤럭시S22가 작년 모델과 비슷하다는 생각은 이해되는 반응이지만, S22와 S22+를 직접 손으로 만져봤을 때 내부에 뭐가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점이 분명해졌다"며 "올해 삼성은 디스플레이, 성능 그리고 카메라 등 갤럭시S22를 전작과 완전히 달라진 주요 업그레이드 요소로 채웠다"고 치켜세웠다.
'블룸버그통신'은 갤럭시S22의 개방성에 주목했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IM사업부와 CE사업부를 통합한 삼성전자의 조직 개편을 언급하며 "삼성전자는 생태계를 외부 파트너와 하드웨어 제조사에 개방해 애플보다 아마존에 가까운 접근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모바일 커뮤니티 등에서 해외 이용자들의 관심은 갤럭시S22 울트라에 집중됐다. "갤럭시 노트 브랜드는 죽었지만, 노트 자체는 돌아왔다", "삼성이 노트(지금은 울트라라고 부르는)를 죽이지 않는 한 제품 명칭에 대해선 신경 쓰지 않는다"며 갤럭시노트 경험의 귀환을 반기는 반응들이 쏟아졌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벨뷰 5개 중학교 한국어반 학생들, 샛별문화원으로 신나는 필드트립
- 이승만,박정희 조명 다큐 <하보우만의 약속> 시애틀상영 성황
- 시애틀서 광복 80주년 특별강연회-"40명만 예약받아"
- 한국 인기 액션영화 <야당> 25일부터 시애틀과 포틀랜드 상영
- 미국태권도고단자회 명예의 전당 시상식 성황리에 열려
- “미국 비자 신청시 허위 진술하면 영구 입국금지된다”
- 대한부인회 LA로 진출한다...LA지부 설립 추진 및 55주년 행사 준비도
- 시애틀 엄경제 시인 첫 시집 <그게 그리 어렵나> 출간
- 시애틀통합한국학교에 가야금 선율 울려 퍼져
- “트럼프 시대, 한인 여러분도 주식비중 낮춰야할 것 같다”
- 세계한인비지니스대회 막내려…워싱턴주 한인상공회의소 MOU체결
- [축시-오정방] 부활 復活
- 올해 두번째 오리건순회영사 성황리에 마무리
-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UW세미나 큰 관심 끌었다
- 시애틀한인회, 8월2일 15개국 참여하는 ‘미니 월드컵’개최
- 페더럴웨이 한인여성, 한인들 상대로 70만달러 사기쳐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19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19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19일 토요산행
- 코너스톤 무료 페더럴웨이 클리닉 이전했다
- 린우드 베다니교회 여름성경학교 연다
시애틀 뉴스
- 20대 한인이 ‘부정행위 AI’ 만들어 아마존 면접 통과
- 백악관, UW 등 미국 대학들의 규탄 서한 일축…"연방법이나 준수하라"
- 비지니스 시작하기에 시애틀 전국 최악수준이다
- 워싱턴주 주민들 도박중독 얼마나 심할까?
- 워싱턴주 마약노출돼 태어난 신생아, 전국평균 2배
- "워싱턴주 여학생경기에 트랜스젠더 참여 가능하다"
- 워싱턴주서 여학생 ‘플랙 풋볼’ 공식 스포츠경기됐다
- UW 등 워싱턴주 대학총장들 "트럼프 대학에 간섭 중단하라"성명
- 시애틀 고교생, 야키마 파티장서 총맞고 사망
- 中항공사 인도 예정 보잉 항공기, 시애틀로 되돌아와…관세전쟁 불똥
- 워싱턴주 ‘부자세’ 신설 대신 기존 세금 인상하겠다
- 시애틀다운타은 치즈케이크팩토리서 화재…사쿠라콘 행사 일시 중단
- 시애틀 아파트면적 미 대도시중 가장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