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포 560여발로 '9·19합의 위반' 시험대 올리는 북한…'책임 전가' 유도

총참모부 대변인 "南 도발에 대응 사격" 주장 이어가 

'합의 위반·파기' 언급 일절 없어…남한 내 '파기 논란' 증폭·떠보기 의도

 

북한이 14일에만 560여발의 포병 사격을 쏟아붓는 등 '9·19 군사합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연쇄 도발'을 이어가면서도 긴장 고조의 책임을 남측에 돌리고 있다.

국내에서 9·19 군사합의 파기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이같은 도발로 '합의 파기'를 시험대에 올려 갈등을 유발하고 이를 향후 강도 높은 군사 행동의 빌미로 삼으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인 14일 오후 5시쯤부터 6시30분쯤까지 북한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90여 발의 포병 사격이 있었다고 밝혔다. 또 오후 5시20분쯤부터 7시쯤까지 서해 해주만 일대에서 90여 발, 서해 장산곶 서방 일대에서 210여 발 등 총 390여 발의 포병 사격이 관측됐다. 

북한은 14일 새벽에도 포병 사격을 실시했다. 14일 오전 1시20~25분과 오전 2시57~3시7분쯤 각각 황해도 마장동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30여발, 강원도 구읍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40여의 포병 사격을 벌였다. 14일 하루에만 총 560여 발의 포병 사격을 가한 것이다. 

동·서해상을 향한 사격 모두 포탄이 9·19 군사합의에 따라 사격이 금지된 북방한계선(NLL) 북방 해상완충구역에 낙탄했다. 이는 명백한 군사합의 위반이다. 

이에 대해 북한은 남측이 먼저 합의를 위반한 행동을 했고 자신들은 이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포병 사격을 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합의 위반의 책임을 남측에 돌린 것이다.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은 15일 '발표'를 통해 "14일 오전 9시45분경 남측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서 적들의 포사격 정황이 포착됐다"며 이에 대처해 "동부 및 서부 전선 부대들이 대응 조치의 일환으로 동, 서해상으로 방사포 경고 사격을 진행했다"라고 밝혔다. 

대변인은 14일에도 '발표'를 통해 "남조선 군은 13일 아군의 5군단 전방 지역에서 무려 10시간에 걸쳐 포사격을 가맹했다"며 이에 "우리는 강력한 대응 군사행동 조치를 취했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모든 사안의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는 이같은 논리는 '9·19 합의 파기'를 시험대에 올리려는 북한의 대남전략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북한의 강도 높은 도발로 인해 여권을 중심으로 9·19 군사합의를 파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북한이 '남남 갈등' 증폭을 위해 의도적으로 합의를 위반하는 행동을 지속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북한은 공식적으로는 '합의 위반'이나 '파기'에 대해 언급하지는 않고 있다. 전날 대통령실이 "군사합의가 유지될 것이냐, 파기될 것이냐는 북한의 태도에 달려 있다"라고 공을 넘기는 듯한 입장을 취했으나, 북한은 이날 오전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 발표'에서도 9·19합의에 대해서는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

지난해 3월 김여정 당 부부장이 한미 연합훈련을 비난하며 "북남(남북)군사분야 합의서도 시원스럽게 파기해버리는 특단의 대책까지 예견하고 있다"라고 발언한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김 부부장은 지난 2020년 대북 전단(삐라)을 비난하는 담화에서도 9·19합의 파기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이는 남측이 먼저 남북 합의 파기를 선언하면 긴장 격화의 책임을 돌리며 이를 강도 높은 군사 행동과 국방력 강화 행보의 명분으로 삼기 위한 의도인 것으로 해석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9·19 군사합의서 위반에 대한 우리 측 여론을 의식하고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며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9·19 군사합의 파기 문제에 대한 우리 측 입장을 실제로 떠보려는 의도도 내포돼 있다"라고 분석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