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이재명 대표, '입법의 시간' 오면 '경제·민생' 계기로 만날까

대통령실, 여야 지도부 회동 계기 마련 노력 중…"이야기 진전될 것"

조직개편·예산 등 협치 절실…'조건 없이 만나자' 野, 독대 주장 굽힐 듯

 

윤석열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이 국정감사 종료 후 본격 조율될 것으로 보인다. 민생과 경제 현안에 대한 논의를 계기로 이뤄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11일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마주 앉을 계기를 마련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르면 11월이 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관측도 나온다.

정부·여당과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 답보와 국회 국정감사 등을 계기로 강대강 대치 중이다. 윤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대통령실과 여당 모두에서 적지 않게 터져 나오는 이유다. 이 대표가 한미일 합동 군사훈련을 "친일 국방"이라고 비판한 것은 회동 회의론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

실제로 대통령실과 여당 내부에서는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거론하며 대통령이 굳이 만날 이유는 없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오는 11월 '입법의 시간'이 다가오면 이같은 기류에도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이야기들이 조금씩 진전될 것"이라며 회동 성사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다른 고위관계자는 "다음 달 중에 자연스러운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법원이 정진석 비상대책위원회의 정당성을 인정하면서 국민의힘 지도부 리스크를 덜어낸 데다 여야 협치를 이뤄내지 못한다면 그 책임은 결국 윤 대통령에게 지워질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대통령이 아직 참모진에게 구체적인 지시를 내린 적은 없다고 한다.

회동 제안의 계기는 경제와 민생 현안이 될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경제와 국민 삶이 어려우니까 민생 문제에 대해 정치 지도자들이 얘기하는 모습이 가장 좋을 것"이라고 했다.

민생 법안을 둘러싸고 여야 협치가 절실해지는 '국회의 시간'이 오면 대통령이 야당에 손을 내미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뜻으로 읽힌다. 이번 정기국회에는 민주당의 '노란봉투법'과 양곡관리법 개정안,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정부조직개편안, 2023년도 정부 예산안 심사·의결 등 협상 테이블에 오를 굵직한 쟁점 사안이 산적해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아직 대통령실과 본격적인 조율이 진행되지는 않았다면서도 회동 제안이 온다면 조건 없이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변수는 회담 방식이다. 이 대표는 애초 '영수회담' 용어를 쓰면서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요청해왔지만 대통령실이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사법 리스크에 놓인 이 대표를 윤 대통령이 단둘이 만나는 것은 불필요한 정치적 해석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민주당이 공식적으로 독대 요청을 철회한 적은 없지만, 이 대표가 조건 없는 만남을 강조한 만큼 다자 회동을 전격적으로 받아들일 가능성도 일각에서는 제기된다. 윤 대통령이 여야 지도부에게 민생 현안에 대한 고민을 나누자고 제안할 경우 이 대표가 혼자 끝내 거절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